김포 고촌읍을 빛내는 ‘작은 이태리’

'낡은' 주택의 '밝은' 변신
@Changmook Kim
에디터. 김현경  자료. 건축그룹[tam]

 

저녁 시간, 고촌역 2번 출구에서 내리막길을 따라 걷다 보면 천장으로 새어 나오는 불빛이 눈에 들어온다. 어디에서 나온 불빛일까, 낮고 오래된 주택들 사이 빛을 따라 골목을 걷다 보면 주변의 다른 공간과 분리된 것 같은, 작은 레스토랑이 나온다. 김포시 고촌읍 오래된 주택가에 있는 ‘밝은 집’은 1984년부터 집이 간직해 온 시간이 만들어 낸 분위기를 그대로 담고 있었다. 건축그룹[tam]의 이준호 소장을 만나 이 집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Changmook Kim

 

‘밝은 집’은 오래된 주택가의 주택을 리모델링한 프로젝트죠. 어떻게 일을 맡게 되셨나요?
부동산에 관심이 많은 친구가 있는데, 이곳에 무언가 한다면 뭐가 가능성이 있을지 물어봤어요. 기존에는 오래된 주택이었거든요. 길에서 쭉 들어오면 마당이 있고, 집이 있는 곳인데, 딱 보니까 ‘펍pub’ 같은 음식점이 생각났어요. 길에 나오지 않고 마당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이 동네 주변에 그런 곳이 거의 없거든요. 새 아파트가 들어서고 젊은 사람들이 많은 동네인데 나와서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었죠. 그래서 그렇게 말했더니 친구가 ‘그래?’ 그러더니 조금 있다가 전화가 다시 왔어요. 계약했다고.(웃음)

 

신축할 것인지 리노베이션을 할 것인지 결정할 때 기존 건물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집은 어땠나요?
보통 이 정도 오래된 집이면 내부를 수리했을 법도 한데, 이 집은 특이하게도 내부구조가 크게 변경이 안 됐어요. 1980년대에 처음 지어진 그 상태 그대로였어요. 심지어 손으로 그려진 도면이 남아 있었는데, 그 도면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었죠. 만약 집의 구조가 많이 변경되어 있었다면 사실 부담스러웠을 텐데 예전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보다 자유롭게 공간을 구성할 수 있었어요. 구조가 많이 변경된 상태였으면 쉽지 않았을 거예요.

 

ⓒarchitecture group [tam]
ⓒarchitecture group [tam]

 

나중에 천창을 내느라고 예산이 더 필요했던 거로 알고 있어요.
예산이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너무 자유롭게 할 수는 없었죠. 이 집이 좀 어두웠어요. 해가 들어오는 창 쪽으로 3~4층짜리 건물이 올라와 있고 전체적으로 어두워서 여기는 좀 밝게 하는 게 좋겠다 싶었죠. 고촌역에서 여기까지 오는 길이 내리막길이거든요. 내리막을 걷다가 보면 이 집이 보이는데 천창만 내면 너무 심심할 듯했어요. 만약 안에 불을 켜놓고 있는데 볼록 솟아 있으면, 전구처럼 보일 것 같더라고요. 등대처럼 보일 수도 있고, 내려오면서 여기에 뭔가 있다는 걸 인지를 할 수 있게 살짝 들어 올리면 재밌겠다 싶었어요. 안에서 공간적인 단조로움도 없어지고, 건축주도 그 제안을 마음에 들어 했어요.

@architecture group [tam]
@architecture group [tam]
리모델링 전 ⓒarchitecture group [tam], 리모델링 후 ⓒ Changmook Kim

 

리모델링하면서 가장 남기고 싶었던 모습이 있었나요?
이 집은 벽돌이 처음 만들어진 그대로 남아있어서 최대한 벽돌이 가진 특유의 느낌을 살려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보통 오래된 집은 문을 뚫었다가 막았다가 해서 벽이 누더기처럼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뚫어 쓴 곳은 있어도 다시 막은 곳은 없었어요. 벽의 느낌을 최대한 살리면서 외부공간을 벽돌 벽과 어울리게 만드는 데 집중을 했죠.
내부도 크게 손을 대지 않았어요. 세입자가 들어오면 그들과 맞게 변경할 수 있게 두려고 했어요. 기본적으로 바닥은 콘크리트로 마감하고, 벽은 흰색으로 밝게, 천장면은 천창이 돋보이게 까만색으로 칠해놓고, 천창이 기존의 집과 어울리게 하려고 했어요.

 

리모델링 전 ⓒarchitecture group [tam], 리모델링 후 ⓒ Changmook Kim
@Changmook Kim
@Changmook Kim

 

처음 모습 그대로였지만 구조 보강이 필요했다고요.
출입구로 들어오면 바로 방이 있는데 벽에 크랙이 심하게 있었어요. 손가락 두 개가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벽 전체가 갈라져 있었어요. 지금까지 헛 벽이었던 거죠. 뜯어내도 상관이 없는 벽이지만 또 뜯어내면 천장을 받쳐줄 기둥이 필요했어요. 그래서 H빔으로 최소한의 보강을 했어요. 그리고 이 집에 반지하 공간이 있어서 기둥을 아무 데나 세울 수도 없었어요. 지하에 벽이 서 있는 자리에 맞춰 올려야 했어요. 보강하는 위치에 따라서 천창의 크기나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그걸 맞추면서 조절하느라 고민을 많이 했죠.

 

@Changmook Kim

 

밝은 집에서 몇 가지 특징들이 눈에 띄었어요. 선홈통 대신 빗물용 쇠사슬이 있더라고요.
오래된 붉은 벽돌과 어울리도록 마당에 화산석 바닥을 깔고, 원래 있던 나무도 남겨두고 아늑한 분위기의 마당을 만들려고 했어요. 근데 앞에 선홈통 하나가 뚝 내려오면 이상해질 것 같았어요. 쇠사슬은 물이 닿으면 금방 녹이 생겨요. 그러면 옆에 있는 벽돌하고 바로 어울려질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마당의 나무가 지붕 위로 솟아 있는데, 그 나무에서 낙엽이 떨어지면 선홈통이 잘 막혀요. 거기서 얼어버리기라도 하면 공사가 커지죠. 기능적으로도 이렇게 오픈된 것이 훨씬 좋아요.

 

@architecture group [tam]

 

리모델링은 시공사를 정하는 것도 시공하는 것도 좀 다를 것 같아요. 어땠나요?
좋은 시공사를 만나는 것도 정말 어려운 일이에요. 밝은 집 이전에 인천에 주택을 증축하는 프로젝트를 한 적이 있는데 시공을 맡은 분이 건축주의 지인이었어요. 완공된 후 결과를 보니 엉망인 거에요. 그게 처음으로 기존 주택을 리모델링한 프로젝트였는데 아쉬움이 많았죠. 이번엔 잘해보자 하고, 여러 시공사를 만나서 겨우 찾은 곳이었어요. 그렇게 만난 게 ‘빈집은행’이라는 팀이에요. 그 팀은 ‘인천에 많은 비어있는 집들을 가져다가 청년들이 쓸 수 있게 고치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출발한 회사예요. 이번엔 좀 더 영역을 넓혀서 민간공사를 해보고 싶다고 해서 그 팀을 만나게 된 거죠. 그런 팀을 만났으니까 오히려 결과가 잘 나왔던 거 같아요.

 

@architecture group [tam]

 

‘빈집은행’과 시공을 하면서 어떤 점이 좋았나요?
아주 근본적인 건데 지키기 어려운 것. ‘도면’을 꼼꼼하게 보고 이해하려 한다는 점이었어요. 의문이 생기는 건 전부 다 물어봤어요. 정말 곧이곧대로 다했어요. 자재도 하나도 안 바꾸고 타일도 그대로 했어요. 100 x 250 mm 사이즈의 하나하나 붙여야 하는 타일로 설계했는데, 일반적인 업자들은 그런걸 안 하려고 하잖아요. 그냥 큼직큼직하게 붙이고 말지, 그래서 타일 시공팀을 세 팀을 바꿨대요. 시공자가 어떻게 마음을 먹느냐도 중요한 것 같아요. 특히 리모델링의 경우에는요.

 

@Changmook Kim
@Changmook Kim

 

건축가에게 리노베이션은 신축과 다른 매력이 있을 것 같아요.
매력 있죠. 왜냐면 예전의 것들은 그대로 쓰면서 조금만 고치면 그전의 분위기를 그대로 남겨두면서 확 기분 전환이 될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뀔 수 있잖아요. 그런 점들을 찾는 거죠. 제약 속에서 여기는 이런 부분을 바꾸면 얼마나 바뀔까 이런 것들을 고민하는 재미가 있어요. 신축은 아무래도 좀 더 편해요. 초반에 건축주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이 더 들어간다고 볼 수 있죠. 리모델링은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더 많지만 신축하고는 좀 다른 재미가 있어요. 고촌면 이태리도 그런 면에서 즐겁게 작업을 마쳤던 것 같아요. 

 

이준호 소장 @architecture group [tam]

 

You might also like

건축에도 올드머니룩Old Money Look이 있을까?

[정해욱의 건축잡담] ⑩ 정통과 퓨전의 변증법에 관하여

스테이 창업 전, 반드시 두드려보아야 할 돌다리 ‘스테이 스쿨’

스테이 스쿨 강사진으로부터 미리 들어보는 생존 전략

일상의 웰니스 라이프 큐레이터에게 묻다

[Wellness Lifestyle] ⑧ Life Curators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

[Portrait] 호텔을 만드는 사람 한이경

‘왜 홀리스틱 웰니스인가’, 그는 이렇게 말한다

[Interview] 상하 리트릿 CCO & 총괄 건축가 — 캘빈 싸오Calvin Tsao

짓기 전에 꼭 넘어야 할 스무고개가 있습니다

[다시 만난 브리크의 공간] ① 서교동 카페 ‘콤파일Compile’ 황지원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