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소효자동의 집 고치기

[QnA] 공간을 나누고 또 나눠, 켜켜이 건축적 경험을 덧바르다.
ⓒHyosook Chin
글. 전종현 편집위원  사진. 진효숙  자료. 사무소효자동

 

사무소효자동은 갑자기 머리를 스친 아이디어에 꽂혀 이를 집 짓기에 대입하지 않는다. 자신의 결에 맞는 방식을 꾸준히 실험하고 비교하면서 나은 것은 더 발전시키고 아쉬운 점은 수정 보완하면서 ‘사무소효자동’스러운 개성이 지속가능한 건축을 추구한다. 이번 ‘연희동 할머니 집’ 리노베이션은 어땠을까?

 

 

사무소효자동은 공간을 나누고 또 나누는 분절을 통해 건축적 경험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를 잘 보여주는 형태가 바로 ‘켜’다. 연희동 할머니 집의 구조와 다양한 경험을 만드는 원천은 마당이다. 마당을 바라보는 경험에 맞춰 다양한 켜를 계획한다. 집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대문간에서 현관으로 들어오는 진입로와 두 개의 채다. 물리적으로 집이 분리되지 않아 엄밀히 말해 채는 아니지만 공간을 분절한 결과물은 실질적으로 채에 가깝게 되었다.

‘채1’는 천장이 평평한 평반자로 처리된 곳으로 할머니와 간병인의 생활 공간이다. 복도로 이어지다 에메랄드빛 펠트를 붙인 벽체에서 끝이 난다. ‘채2’는 이 벽체를 통과하기 위해 동선을 바꿔 우회하면서 시퀀스가 바뀌고 그 경계선을 넘으면서 등장한다. 부엌 공간과 할머니를 위한 넓은 휴식 공간인 박공반자 지역이다. 이 집에서 공간적으로 가장 극적인 곳으로 실제 할머니가 제일 만족하신 부분이다. 원래 집이 이렇게 컸었냐고 되물었을 정도로 공간을 크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탁월했다. 특히 같은 높이의 평단자의 연속에서 높은 박공반자로 바뀔 때 명쾌함은 극대화된다. 공간이 전환될 때 그 변화상을 시각적, 공간적으로 잘 보여주는 변곡점이다.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채1’에서 마당을 바라볼 때 어떤 경험의 수가 나올 수 있을까. 일단 방에는 고정된 형태의 벽을 세우지 않고 미닫이로 움직이는 창에 문의 기능을 부여해 첫 번째 켜를 만들었다. 창은 장지로 마감해 빛이 새어들어온다. 그리고 좁은 복도를 넘어 전체가 유리로 된 전창을 통해 마당을 조망한다. 이 시선을 따라가면 마당뿐 아니라 퇴와 처마, 디딤돌이 보이고, 저 끝에는 담장이 존재한다. 방이 아니라 복도로 움직일 때는 한 쪽에 장지문, 다른 쪽으로 전창과 퇴, 처마, 담장이 보인다.

 

ⓒHyosook Chin
ⓒHyosook Chin

 

‘채2’에서 켜의 방식은 ‘채1’과는 사뭇 다르다. ‘채2’의 핵심은 거대한 문창이다. 문인 듯 창인 듯 애매모호한, 가로세로 1500mm 길이의 정사각형 문창은 마당을 바라보는 켜이자, 동시에 툇마루로 나가는 입구로 기능한다. 원래 미닫이로 만들까 생각도 해봤는데 집 안에서 열고 밖으로 나간다는 행위가 중요해서 여닫이로 만들었다. 바깥을 보는 창이 주거자의 의지에 따라 마당으로 나가는 문의 역할을 병행한다. 열리는 방향도 중요한데, 오른쪽으로 열리면 움직임이 막히지만 왼쪽으로 열리면 ‘ㄱ’자로 연결된 퇴를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있다. 분절되지 않고 연속적인 움직임을 보장하는 건 무척 중요하다.

 

ⓒHyosook Chin
ⓒHyosook Chin

 

‘채2’에서는 문창이라는 첫 번째 켜로 마당을 접하면서, 동시에 툇마루를 지나 대문간에서 현관으로 진입하는 루트를 따라 조성한 낮은 담을 통해 또 다른 켜를 경험한다. 그리고 그 뒤쪽에 자리 잡은 대문과 대문 위의 공간이 수평적으로 쌓이면서 켜의 층을 느낄 수 있다. 대문 위에 살며시 노출되는 하늘로 시선을 확장하면 이 작은 집에서 경험하는 시각적인 켜가 깊고 다양하다는 점을 알게 된다. 더불어 마당의 퇴에 앉아있으면 마당부터 지붕 없는 하늘까지 시각 경험의 범위가 수직적으로 확장되고, 바람, 햇빛, 하늘 등 자연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면서 새로운 세계가 열리게 된다.

 

재료

 

연희동 할머니 집에는 여러 재료가 쓰였는데 특히 바닥과 벽, ‘채1’과 ‘채2’를 연결하는 부분을 주목하면 된다. 아까 말했듯이 마당의 바닥에는 마사토를 썼다. 그리고 장대석의 경우 포천석을 잔다듬 했다. 실내 바닥은 화이트 오크 원목마루를 사용해 ‘진성의 느낌’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집의 외벽은 언젠가부터 쓰기 시작한 도장 기법으로 마무리했다. 단순히 하얀색의 수성 도장이 아니라 오돌토돌한 고운 질감을 가진 기법이다. 이 도장 기법 덕분에 색과 텍스처로 면을 한번 끊는 효과가 있다. 담장 위에는 얇은 선을 그은 듯 처마가 살짝 나왔는데 덕분에 그림자가 생겨서 벽면에 깊이감을 선사한다.

집 실내의 벽은 장지문이 대신하고 있다. 사무소효자동에서는 장지문을 자주 쓰는데 그 이유는 간단하다. 주택을 지을 때는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경향이 강해서 쨍한 느낌을 주는 재료를 저어하게 된다. 나무, 돌처럼 자연스럽게 주변 분위기와 융화될 수 있는 재료를 선호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전에 시도하지 않은 실험적인 부분이 바로 펠트로 마감한 부분이다. 도장이나 한지와는 층위가 다른 따듯함을 품고 있다. 펠트를 따님에게 제안했을 때 괜찮으려나 걱정을 좀 했는데 예상외로 호응이 너무 좋아서 우리도 즐겁게 실험할 수 있었다.

 

ⓒHyosook Chin
ⓒHyosook Chin

 

시퀀스

 

연희동 할머니 집에는 무수히 많은 시퀀스가 존재한다.

 

ⓒsamusohyojadong

 

집이 위치한 곳은 골목길이다. 집에는 대문이 있고 자연스레 주변 공간이 존재한다.

 

ⓒsamusohyojadong

 

대문을 열고 내부로 들어가면 오른쪽에는 하늘이 뻥 뚫린 마당이, 왼쪽에는 넓은 판으로 구성된 현관 진입로와 이를 마당과 나눠주는 낮은 담이 존재한다.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면 중문이 나오고 곧 좁은 복도가 펠트로 마감한 벽까지 이어져 있다.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복도 왼쪽에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미닫이 형식의 장지문이, 오른쪽에는 마당과 퇴가 보이는 통창이 벽 역할을 한다.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복도를 지나 펠트 마감 벽에 도착해 살짝 왼쪽으로 틀면 주방이 나오고 거기서 오른쪽으로 확 틀면서 진입하면 박공 지붕을 가진 휴식 공간이 장대하게 나온다.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휴식공간의 오른쪽에는 문도 아닌 창도 아닌 문창이 존재한다. 이 문을 바깥으로 밀면 퇴에 나갈 수 있다.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할머니가 딱 앉을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퇴에서는 나무 두 그루가 있는 마당과 대문이 보인다. 대문 앞 현관 진입로를 따라 낮게 쌓은 담은 켜를 만들고 대문과 대문 위 공간까지 수평적으로 켜를 쌓는다.

 

ⓒsamusohyojadong
ⓒsamusohyojadong

 

위에 살짝 열린 공간은 외부의 경치를 받아들이며 스스로 차경의 매개가 된다.

 

 

 

You might also like

스테이 창업 전, 반드시 두드려보아야 할 돌다리 ‘스테이 스쿨’

스테이 스쿨 강사진으로부터 미리 들어보는 생존 전략

일상의 웰니스 라이프 큐레이터에게 묻다

[Wellness Lifestyle] ⑧ Life Curators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

[Portrait] 호텔을 만드는 사람 한이경

‘왜 홀리스틱 웰니스인가’, 그는 이렇게 말한다

[Interview] 상하 리트릿 CCO & 총괄 건축가 — 캘빈 싸오Calvin Tsao

짓기 전에 꼭 넘어야 할 스무고개가 있습니다

[다시 만난 브리크의 공간] ① 서교동 카페 ‘콤파일Compile’ 황지원 대표

우리나라 아파트 디자인의 이면

[정해욱의 건축잡담] ⑨ 건축가가 발견한 디자인 특이점에 관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