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페터 바이벨: 인지 행위로서의 예술’ 개최

에디터. 윤정훈 자료. 국립현대미술관

 

세계적인 미디어 개념미술작가 페터 바이벨의 한국 첫 회고전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열린다. 독일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ZKM, Center for Art and Media)와 공동 기획한 교류전 ‘페터 바이벨: 인지 행위로서의 예술’이 그것. 
페터 바이벨은 1960년대부터 예술가이자 큐레이터, 이론가로 활동하며 미디어아트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번 전시는 그의 작품 세계를 예술행동, 퍼포먼스, 사진, 언어분석, 글쓰기, 시, 비디오, 확장영화, 컴퓨터 기반 설치 작업 등 총 10가지 주제 아래에서 살펴보며 작가의 대표 작품 약 70여 점을 소개한다.

 

<사진 제공=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다원공간이 주 무대다. 다원공간으로 진입하는 초입은 페터 바이벨의 1960년대 초기 사진과 영상 작품 위주로 구성했으며, 다원공간에서는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인 <다원성의 선율>(1986-1988년)을 감상할 수 있다. 다원공간을 나와 복도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작가의 후기 작업 및 관객 참여형 작품들을 차례로 만나볼 수 있다.

 

<사진 제공=국립현대미술관>

 

페터 바이벨은 예술과 과학 사이를 자유분방하게 넘나드는 작가로서 현재까지 다양한 재료, 형식과 기술을 통해 자신의 문제 인식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20세기 후반에서 21세기 초반 사회 변화를 반영하고 당시 예술에 대한 관습적 견해에 도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미디어 발전 초창기 언어이론, 수학과 철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확장했고 더 나아가 실험 문학에서 퍼포먼스, 해체주의와 실험영화 등의 주제도 다뤘다.
그는 초기 작업에서부터 타자기, 음반, 마그네토폰magnetophone, 사진, 영화, 비디오 등 기계장치를 비평하고 이에 기반한 예술의 전 영역을 실험하며 이미지와 실재 사이의 존재론적 차이에 대한 질문을 던져왔다. 1966년을 기점으로 작가는 자신의 작품에 상호활동적 요소를 포함시키며 보다 적극적으로 관객과의 소통과 참여를 제안했다. 그가 우리에게 제시하는 예술은 ‘인식의 과정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사진 제공=국립현대미술관>
<사진 제공=국립현대미술관>
<사진 제공=국립현대미술관>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번 교환 전시를 통해 한국 관람객들에게 처음으로 페터 바이벨의 작품세계를 소개하게 되어 뜻깊다”며, “향후에도 국제적 기관들과 상호 협력하여 한국 현대미술을 국제적으로 널리 알리고 해외 현대미술을 국내에 적극 소개하는 새로운 시도들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시는 5월 14일까지.

 


전시명.
페터 바이벨: 인지 행위로서의 예술

주최.
국립현대미술관 

협력.
독일 카를스루에 예술미디어센터

일시.
2023년 2월 3일(금) ~ 5월 14일(일)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다원공간 및 복도공간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관람료.
4,000원(서울관 통합권)

홈페이지.
www.mmca.go.kr

문의.
02-3701-955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