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Design
CIID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주익현 Ikhyeon Ju
건물 위치 Location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Hapjung-dong, Mapo-gu, Seoul, Korea
건축 형태 Type
리노베이션 Renovation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129㎡
건축 면적 Building area
76.72㎡
연면적 Total floor area
269.29㎡
규모 Building scope
3F, B1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9.47%
용적률 Floor area ratio
158.12%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골구조 Steel Frame
시공 Construction
라우종합건설 Lawoo Construction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럭스틸, 스타코 외단열시스템, 투명 로이 복층유리 Policabonate Panel, Luxteel, Stucco external Insulation Sysrem, Low-E insulated glass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19
사진가 Photographer
이강석 Gangseok Lee

면면면(面綿丏) Façade, Connect, Screen

CIID
ⓒGangseok Lee
글 & 자료.  씨:드 CIID   정리 & 편집. 정지연 에디터

 

마을로 침투한 개발 논리 – 이방인의 조심스러운 방문
자본주의로 인해 변화하는 동네의 흐름은 거스르기 어렵다. 이른바 홍대 상권이라 일컫는 망원동, 연남동, 상수동으로 빠르게 뻗어가던 흐름은 어느새 한강 어귀에 있는 합정동 구석 골목까지 다다르게 되었다. 주거지로 가득한 이곳에서 30~40년 동안 조용히 살고 있던 사람들도 급작스러운 땅값 변화에 들썩일 수 밖에 없을 테고, 그렇게 외지인이 하나둘씩 조용히 침투하고 있다. 주변에 마트 하나 없는 조용한 동네이지만 이곳이 머지않아 발전할 것이라는 선구안을 가진 건축주는 임대형 근린생활시설을 계획하고자 하는 마음을 먹고 우리를 찾아왔다.

 

ⓒGangseok Lee

 

근린생활시설이라면 뭐니 뭐니 해도 사업성이다. 층마다 면적을 시원시원하게 뽑아내고, 주변 누구보다 멋지게 디자인하면 중간은 간다. 물론, 너무 과하지 않게 한다는 전제조건은 있다. 사실 그런 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너무 쉽다. 오히려 조용한 골목에 민폐가 아닐까 걱정이 될 뿐.

우리가 이미 수차례 경험하고 극복하지 못했던 젠트리피케이션의 전조 현상에 대처한다는 거창한 포부는 일단 제쳐두겠다. 이미 그 흐름은 너무나 무겁고, 큰 파도라 이 작은 건축물로써 총대를 메겠다는 위험하고 무모한 이야기를 하고자 함이 아님을 확실히 해 두려 한다.

다만 우리가 집중한 것은, 외지인으로서 기존 주거지에 어떻게 하면 부담스럽지 않게 접근하느냐 하는 것이다. 속옷 차림으로 편하게 있던 집에 갑작스럽게 손님이 찾아온다면 그 누가 당황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에서 우리가 제안한 방식은 신축이 아닌 리모델링이었다. 이른바 가성비를 추구한다는 명목 하에 리모델링으로서의 접근은 어쩌면 장기적인 경기침체에 조금이나마 실패를 줄이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인 것과 동시에, 익숙한 스케일과 분위기를 그대로 이어나가는 것이 예전부터 이곳에서 삶을 영위하던 오래된 주민에게 드리는 최소한의 배려라고 보았다.

또 예전부터 단독주택으로 사용되던 이 대지는 동서로 긴 이형적 대지의 형상으로서 일조사선의 제약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보니 신축으로는 도저히 기준용적률에 따른 연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다행히 건폐율은 꽉 채워져 있고 반지하가 있어 구조를 잘 보강해 1개층 정도만 수직증축 한다면 기준용적률에 해당하는 연면적 그 이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해 주저없이 리모델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diagram ⓒCIID
elevation ⓒCIID
1층 평면도 ⓒCIID

 

面 (낯 면) – Façade, 공공성을 가진 벽
우리나라에는 참 붉은색 벽돌건물이 많다. 오래되고 더러워져도 태가 나지 않아 1980~90년대 굉장히 사랑받았던 재료였다. 그래서 그 당시 신축된 주택들은 그 재료를 사용하다 보니 어느 새 서로의 구분이 어려울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원래 이곳에 있던 건물도 역시 붉은색 벽돌로 지어졌었다. 그 옆도, 그 건너편도, 그 반대편도, 앞집도. 종류만 다를뿐 모두 비슷비슷한 느낌.

수익형 부동산에서 전과 대비되는 이미지를 통해 건물이 튀어보이게 하는 것은 보편적인 접근법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로인해 동네가 망가지는 경우도 수 없이 봐왔다. 나 잘났다는 표현을 아무리 한들 그 누가 반길 것이며, 그런 시비로 시작된 소리 없는 경쟁으로 이 골목길이 저급해지는 것을 원치 않았다. 이곳의 조용한 분위기와 스케일에 맞는 담백한 벽이라면 이방인의 첫 걸음으로는 죄책감이 덜 할 것이다.

우리는 하나의 큰 그림을 걸어보기로 했다. 회화에서는 이차원적 평면 위에서 삼차원적 입체나 깊이가 표현되다 보니, 그려진 면은 양감이나 공간의 깊이를 암시한다. 그래서 빛이나 색의 효과가 그 자체로서의 공간이나 양감의 표현에 이바지하고 있는 한, 명암의 면이나 색이 가지고 있는 면이 회화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렇게 빛이 잘 들어오는 남쪽 벽을 캔버스 삼아 동네에 내어주면 시시각각 변하는 하늘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어 줄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추상화로 보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는 복잡한 동네를 정리시켜주는 가림막도 된다. 밤에는 어두운 골목길을 비추는 가로등이나 등대의 역할도 할 듯 하다. 
이 골목을 거니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이 건축물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된다면 좋겠다.

 

ⓒGangseok Lee
ⓒGangseok Lee

 

綿 (이어질 면) – Connect,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야기하는 곳
합정동 한강변 끝자락의 이 동네를 거닐다 보면 노인분들께서 느린 걸음으로 오고가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마주할 수 있다. 그들은 1980~90년대부터 이곳에서 터를 잡고 살아가시는 급변하는 세상의 산증인이다. 대부분의 건물주는 70세가 넘는 노인들이다 보니 오래돼 낡아버린 건물에서 특별한 보수 없이 살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이곳도 마찬가지로 누런 벽지에, 곳곳에 누수된 흔적과 곰팡이 냄새로 가득한 공간이었으니까. 특히나 처음 건축했던 시대에는 연와조가 많았던 터라 지금은 연식이 오래되어 구조적으로도 굉장히 불안했다.

그렇게 오래되어 볼품 없어진 이 작은 건축물에도 역사가 있다. 동네 사람들에게는 수십 년간 ‘2층짜리 아무개씨네 집’ 이외에도 ‘넓고 큰 대문이 있는 집’ 또는 ‘외부계단이 길가에 있는 집’이었을 것이다. 이런 기억 속 장소를 강제로 지우는 대신,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는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이야깃거리의 대상이 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실제로 공사 중에 간간이 주민분들이 오셔서 관심을 가지며 둘러보시던 것이 기억난다).

기존 주택의 각 실을 구획하던 내력벽을 해체하고 그 자리에 새롭게 생긴 H빔으로 재설정된 각 층의 트여진 공간은 그동안 벽으로 가려져 제한될 수 밖에 없었던 시각적 확장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전환을 가능케 했다. 특히 3층의 증축부는 기존 건축물 바닥경계 그대로 수직 연장하며 층고 높은 공간을 구현하였는데, 반투과성 재료와 온통 흰색으로 가득한 벽으로 구성된 화사한 분위기는 아래층의 과거가 연속된 빈티지한 느낌과 대조돼 앞으로 새로운 생활이 이어질 미래로 확장되는 느낌의 이미지를 연출했다.
사라지지 않고 진화하게 된 이곳은 앞으로 어떤 새로운 이름으로 불리우게 될까?

 

ⓒGangseok Lee
ⓒGangseok Lee
ⓒGangseok Lee
ⓒGangseok Lee

 

丏 (가릴 면) – Screen, 서로의 일상을 지켜주는 보호체
잊지 말아야 할 점이 있었다. 이곳은 주거지라는 점. 좁은 골목과 건너편 주민들에게는 사생활이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부담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럴 때 차면시설 즉, 가리개로 창에 땜질하듯 덕지덕지 붙이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방법일 테지만 서로를 가려야 나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라는 메마른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

사실 이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서도 거리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그렇다고 단순히 가리는 것은 서로 답답해 질 수 있으니 좀 더 간접적이고 유연한 방법이 필요했다. 바라봄에 대한 행위유발을 제한하거나 덜 일으키게 하는 방법의 접근이다. 자연스럽게 눈길이 가지 않게 한다거나 빛의 확산효과를 바탕으로 덜 투과하게 해 형상을 실루엣으로 중화시키는 방법이 떠올랐고, 루버와 폴리카보네이트는 이러한 해답을 줄 수 있는 요소였다. 루버는 정면을 빼고는 대상에서 살짝만 빗겨나도 면이 넓어보여 웬만해서는 내부를 들여다보거나 밖을 바라보는 행위를 자연스럽게 억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반투과성 재료로서 빛을 확산하여 받아들여 눈부심은 적어지고 광량은 풍부해 진다. 시선이 차단되는 것은 물론이고, 남향이라 빛도 충분히 들어온다.

 

ⓒGangseok Lee
ⓒGangseok Lee
ⓒGangseok Lee

 

이곳은 합정역으로부터 300m 정도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고, 이미 역 근처에 식당과 카페가 많다 보니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이 곳은 사무실로 임대될 가능성이 많을 것이라 보았다. 사무실의 성격도 이 지역의 특성을 감안, 크리에이티브한 직종(디자인, 음악, 영상, IT)이 기반할 것이라 보아 야간 작업이 많을 것으로 판단, 그들이 내뿜는 빛 공해 또한 어느 정도 차단이 필요했다. 사실 밤이 되면 골목이 너무 어두워서 걱정이었던 것이, 이와 같이 적절히 광량이 조절된 빛의 효과로 인해 보다 밝고 안전해 보이는 장소가 되었다.

 

불확정적 프로그램을 가진 공간을 구상하는 자세
냉정하게 이야기해서 수익형 부동산을 계획하는 입장이라면 자본주의 개발논리를 역행하는 것은 굉장히 무모하다. 단순히 도시의 오랜 습관처럼 반복되어왔던 기존의 낡고 더러워진 것을 없애고 깔끔하게 새로 짓는 방법만 정답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짧은 건축기간과 건축비로 인해서 신축에 비해 리모델링이 유리한 경우가 적지 않으니까.
특히나 기준용적률만큼 지을 수 없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는 땅은 리모델링 검토가 필수다. 요즘 같이 임대건축물 공실이 늘어나는 불안한 경기에는 투자비용 대비 가성비로서 통용되는 수익률은 중요한 요소일 테니까.

더구나 어떤 용도의 임차인이 입점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유연한 대비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단순히 건축물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조형이나 재료에만 투자하거나, 테라스 공간, 높은 층고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처음에는 강한 의지로서 구현해 보고자 하여 그럴듯 한 계획일지 모르나 결국 건축비 상승의 주된 요인이 된다. 실제로 건축비를 많이 들인 만큼 상대적으로 높은 임대료를 받는 것은 어렵다. 그 지역의 시세가 기준이 되고, 그 선에서 증감이 있을 뿐이다. 그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은 사업성에 있어 꼭 필요한 건축적 요소만 선택적으로 수용하돼 나머지는 과감히 포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택된 요소로 최대한의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방법만이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론이라 본다.

 

ⓒGangseok Lee
ⓒGangseok Lee

 

자생적 움직임을 통해 공생하는 도시
마침내 새로운 주민이 이곳에 들어선다. 노인분들이 걷던 조용한 골목이 이제는 여러 젊은 크리에이터들이 모이게 됨으로서 꽤 활기를 띈다. 변해가는 세상의 흐름대로 이곳 역시 공간의 색과 온도, 분위기가 달라졌음을 실감한다.
설계기간을 포함해 약 6개월의 기간이 결코 긴 것은 아니었지만 그동안 정들어 버린 이곳이, 지금까지 주변 다른 곳들처럼 도시 변화의 거대한 파도에 쉽게 휩쓸리지 않길 바래본다. 비록 이곳이 보존가치가 없는 건축물로 가득한 곳일 지라도 오랜 시간동안 축적된 소소한 풍경의 기억들이 지역 주민에겐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소중한 것이니까. 
큰 바람이겠지만, 앞으로 도시변화에 대응하는 경제적 합리성을 바탕한 공생하는 삶의 가치가 우선되는 자생적 움직임의 한 사례가 되길 기대해 본다.

 

ⓒGangseok Lee
ⓒGangseok Lee

 

디자인 Design
CIID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주익현 Ikhyeon Ju
건물 위치 Location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 Hapjung-dong, Mapo-gu, Seoul, Korea
건축 형태 Type
리노베이션 Renovation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129㎡
건축 면적 Building area
76.72㎡
연면적 Total floor area
269.29㎡
규모 Building scope
3F, B1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9.47%
용적률 Floor area ratio
158.12%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골구조 Steel Frame
시공 Construction
라우종합건설 Lawoo Construction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럭스틸, 스타코 외단열시스템, 투명 로이 복층유리 Policabonate Panel, Luxteel, Stucco external Insulation Sysrem, Low-E insulated glass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19
사진가 Photographer
이강석 Gangseok Lee
You might also like

성수 세림 Sungsoo Saelim

원애프터 one-aftr

이패동 사옥 Ipae-dong Office Building

건축사사무소 가가호호 gagahoho archi

뚜뚜 하우스 & 아주르 커피 dduddu house & ajour coffee

피엘에스 건축사사무소 PLS Archit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