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 정경화 글 & 자료. 내러티브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소금공장의 기억을 품은 장소
부안상설시장 인근, 원도심에 위치한 부안 소금공장은 우리에게 익숙한 천일염이 아닌 민족의 고유한 제염법으로 재제염을 생산하던 공장이었다. 수산업이 발달한 부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던 소금공장은 지난 2009년 운영이 중단된 후 폐허로 남아있었다.
Buan Salt Factory, located in the old city center near the local permanent market, had produced the refined salt through the traditional method. This market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uan where the fisheries industry was developed, but finally remained in ruins after its operation was suspended in 2009.
부안 예술공방은 시장을 오가는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도시재생 시설로, 이 소금공장이 있던 자리에 계획되었다. 건물이 위치한 비정형 필지는 입구가 좁고 안으로 깊은 형태이다. 길게 펼쳐진 2층의 금속 파사드는 상설시장을 향해 강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The Buan Art Factory is located at the site of this salt factory. The atypical lot is deep inside, with a narrow entrance. As an urban regeneration facility for local residents traveling to and from the market, the long metal facade has strong recognition toward the permanent market.


한발 뒤로 물러난 1층의 벽돌 매스는 돌출된 2층 금속 박공 매스와 교차하며, 행인을 맞이하고 감싸는 듯한 외벽을 만든다. 둔탁한 줄눈과 함께 적벽돌을 적용한 1층은 저층의 오래된 주택가의 연장선에 있고, 매스가 뒤로 물러나 만드는 공간은 대지 뒤편에 자리한 주택에 대한 배려이자 골목길의 연장이 된다.
The brick mass at the first floor, which receded behind, and the protruding steel gable mass on the second floor intersect, creating an enclosed wall that welcomes passers-by. The first floor with an uneven red brick is an extension of an old residential area, and the road created below the metal mass is a consideration for the house behind the site and an extension of the alleyway.
소금공장의 장면을 담은 공간
2층의 박공지붕과 반사도가 높은 금속 외장재는 소금공장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매스를 떠받치는 Y자 기둥은 긴장감을 형성하며 매스 하부에 휴식 공간을 만들고, 시장 입구에서부터 뒤편의 휴게공간에 이르기까지 4개의 레벨에 걸쳐 시선이 통하도록 한다. 낮은 높이의 2층 테라스는 거리를 지나는 이들과 자연스레 시선을 주고받으며 건물 내의 활동을 바깥으로 전파한다. 건물의 높이는 테라스부터 박공 형태의 매스까지 경사를 따라 단계적으로 높아져 건물의 크기가 주는 위압감을 줄여 준다.
The two-story gable roof and highly reflective metal exterior are inspired by a salt factory. The Y-shaped column, which supports the mass, creates tension of overhang and makes an intimate rest area with low ceiling height. This space under the mass allows seeing across four levels from the market entrance to the open space on the backside. On the low-height second-floor terrace, the activities in the building can readily spread to the alleyway, allowing communication with the passers-by. The height of the building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slope from the terrace to the mass of the gable, reducing the pressure on the size of the building.
두 개 층이 열린 내부 공간은 철골 구조가 그대로 노출된 공장 건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남동 측을 향해 활짝 열린 박공 매스의 창을 통해 깊은 필지를 극복하는 풍부한 자연광이 쏟아진다.
The lobby with two open floors has the type of factory building where the steel structure is exposed as it is. Rich natural light pours through the window of the gable mass, which is wide open toward the southeast, overcoming the enclosed site.
비대칭의 돌출 구조로 튀어나온 공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실과 조명은 매우 단순하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었다. 은색의 데크플레이트가 그대로 노출된 천장은 조명을 반사하며 마치 소금 가마솥이 역전된 느낌을 낸다. 반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창호는 1층 공간을 가볍게 구획하는 동시에 사무실 내부로 자연광을 들이고, 소금 포대를 이용한 테이블의 상판으로 쓰이며, 납작한 솥에 맺힌 소금 결정을 떠올리게 한다.
Except the asymmetric protruding structure of the overhang, each room and lighting have a very simple and regular arrangement, to build a modular space for each artist later. The ceiling with the silver deck plate exposed as it is like a salt cauldron that reflects the light. The transparent polycarbonate, which lightly divides the first floor, introduces natural light into the office. This material is also used as the top of a table, made with an abandoned salt bag, and reminds of salt crystals formed in a flat p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