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Design
제이와이 아키텍츠 JYA-RCHITECTS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원유민, 조장희
디자인팀 Design team
김수연, 강종수
건물 위치 Location
서울시 성동구 서울숲4길 22-18
건축 형태 Type
리노베이션 Renovation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145㎡
건축 면적 Building area
75.65㎡
연면적 Total floor area
316.85㎡
규모 Building scope
4F, B1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2.17%
용적률 Floor area ratio
166.20%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골구조 Steel Frame
시공 Construction
JD 건축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치장벽돌쌓기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타일, 석재, 페인트도장
구조 Structural engineer
한길구조
기계 Mechanical engineer
정연엔지니어링
전기/통신 Telecommunication equipment
정연엔지니어링
인테리어 Interior
제이와이 아키텍츠 JYA-RCHITECTS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2
사진가 Photographer
황효철 Hyochel Hwang

성수 WAVE

제이와이 아키텍츠 JYA-RCHITECTS
ⓒHyochel Hwang
에디터. 박지일  글 & 자료. 제이와이 아키텍츠 JYA-RCHITECTS

 

서울숲 개장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한 서울 성동구 성수동은 기존의 오래된 동네 그 모습들을 재발견하고 유지하는 것에서 가치를 갖는다. 1980~90년대 늘어나던 서울의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다세대, 다가구는 최대한 많은 세대가 살 수 있도록 만들어졌고, 그로 인해 지하부터 반지하, 지상까지 입체적인 구성이 만들어졌다. 이는 한편으로 조잡스러울 수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가로의 풍경을 지루하지 않게, 다차원적으로 만들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가로풍경과 차 한 대가 지나가는 정도의 도로 폭이 만들어내는 스케일, 그리고 당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붉은벽돌의 외장은 사람들이 친숙하고 편안하면서도,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해 주었고 이것은 어느덧 성수동의 정체성이 되었다.

 

ⓒHyochel Hwang
ⓒHyochel Hwang

 

이처럼 오래된 이 동네의 모습은 다양한 아이디어와 디자인, 프로그램들이 조금씩 더해지면서 더욱 매력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한쪽에선 지나친 상업화를 우려하기도 하지만 우리가 고민해야 하는 지점은 상업화 그 자체보다는 그 안에서 어떻게 정체성을 유지하며 공존할 것이냐 하는 것이라 보인다. 이 프로젝트는 그런 관점에서 시작했다. 오래된 다가구를 상업 공간으로 바꾸기 위해 지역과 골목의 정체성을 잘 유지하면서, 동시에 어떻게 이웃한 주거 건물과 불편하지 않게 공존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Hyochel Hwang
ⓒHyochel Hwang

 

방식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외장에 관련된 것이고 하나는 창에 관련된 것이다. 상업건물로서 내부에서의 개방감을 만들기 위한 커다란 사이즈의 창과 유리가 필요했다. 하지만 그렇게 됐을 때 이웃해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의 불편함이 생겨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중 외피와 같은 방식으로 내부에서의 유리가 주는 투명함과 개방감은 만들되, 외부와의 시각적 불편함을 걸러줄 수 있는 외피를 한 켜 더 구성하였다. 그리고 그 외피는 옆집과의 시선은 차단해주면서, 하늘을 향해서는 열릴 수 있도록 곡면형태로 만들어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했다. 그리고 이 형태는 기능을 충족하면서 전체 건물의 이미지와 차별화를 위한 요소가 되었다.

 

ⓒHyochel Hwang
ⓒHyochel Hwang
ⓒHyochel Hwang

 

외장을 위한 재료는 자연스럽게 붉은 벽돌을 사용했다. 이는 현재 성수동을 정의하고 있는 재료이기도 하고, 법적으로도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성수동의 건물들이 가진 스케일을 고려해, 벽돌이라는 하나의 재료를 사용하지만 쌓는 방식과 곡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스케일이 한 개 층을 넘지 않도록 전체 매스를 분절시키고자 했다. 벽돌을 통해 곡면을 만드는 것은 물리적으로 여러 어려움과 고민이 필요했다.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벽체가 중간중간 분리가 되어 벽돌의 하중이 기초로 전달되는 것이 아닌, 별도 구조체를 통해 공중에서 매달려 있어야 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어려운 과제였다.

 

ⓒHyochel Hwang
ⓒHyochel Hwang
ⓒHyochel Hwang

 

곡면을 구현하기 위해 벽돌의 시공방식은 건식 시공으로 진행했고, 곡면부 처리를 위해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환봉을 각도에 따라 모두 확인한 후 현장 시공을 진행했다. 그럼에도 현장에서의 오차가 있었고, 완성을 위해서는 현장작업자분들의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평면적으로는 상가건물로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계단실을 옮기고 주 사용 공간을 곡면벽에 접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이 곡면벽과 이웃해 전체 유리이거나, 테라스나 조경을 설치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내부 개방감과 활동성을 만들고자 하였다.

 

ⓒHyochel Hwang
ⓒHyochel Hwang
ⓒHyochel Hwang
ⓒHyochel Hwang

 

공사가 끝나고 지금은 모든 층이 하나둘 채워져 붉은색의 건물에 또 다른 생기가 만들어졌다. 의도했던 것처럼 건축은 동네의 정체성을 존중하는 방식을 취하고, 그 안에는 동네의 새로운 활기가 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채워져 사람들이 오가는 그런 자세를 갖는 건물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1층 평면도 ⓒJYA-RCHITECTS
4층 평면도 ⓒJYA-RCHITECTS
ⓒHyochel Hwang
ⓒHyochel Hwang

디자인 Design
제이와이 아키텍츠 JYA-RCHITECTS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원유민, 조장희
디자인팀 Design team
김수연, 강종수
건물 위치 Location
서울시 성동구 서울숲4길 22-18
건축 형태 Type
리노베이션 Renovation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145㎡
건축 면적 Building area
75.65㎡
연면적 Total floor area
316.85㎡
규모 Building scope
4F, B1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2.17%
용적률 Floor area ratio
166.20%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골구조 Steel Frame
시공 Construction
JD 건축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치장벽돌쌓기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타일, 석재, 페인트도장
구조 Structural engineer
한길구조
기계 Mechanical engineer
정연엔지니어링
전기/통신 Telecommunication equipment
정연엔지니어링
인테리어 Interior
제이와이 아키텍츠 JYA-RCHITECTS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2
사진가 Photographer
황효철 Hyochel Hwang
You might also like

남해 적정온도

비유에스아키텍츠 B.U.S Architecture

고라미집

드로잉웍스 DRAWING WORKS

문호23

건축사사무소 오롯 OROAT architects

송파 마을활력소

건축사사무소 폼아키텍츠 FOAM ARCHIT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