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Design
투닷건축사사무소 Todot Architects and Association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조병규 ByungKyu Cho, 모승민 SeungMin Mo
디자인팀 Design team
천철규 Chris Cheon, 소정호 JungHo So, 이재준 JaeJun Lee, 심건규 KeonKyu Shim
건물 위치 Location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 Hopyeong-dong,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건축 형태 Type
신축 New-built
건축 용도 Programme
단독주택 Single Family House
대지 면적 Site area
857.0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169.01㎡
연면적 Total floor area
365.29㎡
규모 Building scope
2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19.72%
용적률 Floor area ratio
32.71%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근콘크리트 RC
시공 Construction
춘건축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STO
구조 Structural engineer
델타구조
기계 Mechanical engineer
(주)한빛안전기술단
전기/통신 Telecommunication equipment
(주)천일엠이씨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2
사진가 Photographer
천영택 Youngtaek Cheon

트인집

투닷건축사사무소 Todot Architects and Association
ⓒYoungtaek Cheon
에디터. 현자연 인턴  글 & 자료. 투닷건축사사무소

 

남양주 천마산 남쪽 자락에 위치한 호평동은 택지 개발 이후로 아파트로 채워졌다. 산들은 인위적인 선들로 잘려나가고 집들이 들어서는 중이다. 산속의 골짜기는 그 모습이 지워진 지 오래다. 막다른 길의 제일 높은 곳엔 토목 공사가 한창이다.
근방의 아파트에 살던 건축주 내외가 찾아왔다. 부부와 다섯 명의 자녀들, 고양이까지 열 식구 대가족이었다. 가족 구성원이 많은 건축주는 기성의 주거 방식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녀들이 안쓰러웠다고 한다. 하늘이 넓게 열려있고 집들 사이로 해가 비치는 땅을 찾았다. 가족 구성원들의 생활을 고려해 두 개의 필지를 합필하여 배치했다. 산줄기로 둘러진 마을의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Hopyeong-dong, located at the southern foot of Cheonma-san Mountain in Namyangju, is a neighborhood where apartments are a dominant housing type since housing development. Mountains have been dissected with artificial lines and filled with houses. The old valley of the moutains has long been wiped out. At the peak of the dead end roa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s taking place fervently.
The client is a couple with five children who lived in an apartment near the site. They said that they felt sorry for the children who were trying to adapt to the existing residential typology. The scenery of the village surrounded by mountain ranges is wide open in the sky and a south-facing view is possible between the houses. Initially, they planned a house on one parcel, but annexed two parcels for the building sit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Youngtaek Cheon
ⓒYoungtaek Cheon
ⓒYoungtaek Cheon

 

땅이 모습을 갖추기 전에 집을 앉히다
막 조성되었거나, 아직은 조성되고 있는 땅이기에 규정지을 수 없는 경계의 연속이었다. 불확실한 대지 주변의 상황이지만 변하지 않을 요소를 찾고, 이를 맥락 삼아 집을 앉혔다. 지적선으로 민감하게 형태를 찾아야 하는 밀도 높은 지역이 아니므로 대지 경계와 인접한 대지들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배치했다. 탁 트인 조망이 가능한 각도를 찾고 집을 틀어 대지 경계와 틈을 벌리니 이웃하는 집들과 마주하면서도 어색하지 않은 공간적 관계가 생겨났다. 시선이 열리는 방향으로 땅을 돋우고 벌어진 틈으로 자연이 스며들도록 땅의 모습을 매만졌다.

Planning a House before the Land Takes a Shape
A housing site that has just been created or is still being built has a series of undefined boundaries. We tried to place the house in the context of element that would not change in the uncertain situations. Since the site is not situated in a dese area that is sensitive to site boundaries, the house is placed to create gaps between the site boundary and the adjacent land. We raised the ground for an open view and studied the land so that the nature permeates through the open gap.

 

ⓒYoungtaek Cheon
ⓒYoungtaek Cheon
ⓒYoungtaek Cheon

 

자연과 함께하는 집
“우리 집은 리조트 같았으면 좋겠어요” 건축주의 바람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가족여행 한번 가기가 어려워졌다. 이제는 일상에서 여유를 갖고 쉴 수 있는 집을 만드는 것이 목표가 되었다. 전에 살던 아파트도 규모가 작지는 않았지만 저마다의 일상이 부딪히면서 피로가 쌓였다. 공동주택의 합리적인 평면에 끼워 맞추기 빠듯한 삶이었다. 집을 벗어나 여행을 떠나서야 여유를 찾곤 했다.

Coexisting with Nature, not Isolated from It
We imagined the daily life of the client’s family composed of the couple, the five children and even the cats. The apartment they used to live in is not small in size but in the typology, ten individuals’ lives were fragmented functionally while they became fatigued. Composition of apartments forced families to act and move in an orderly manner for “efficiency” and “harmony”. So people travel outside the apartments to relax. “We wish our house was like a resort.” It was the clients’ wish. It’s not easy to go on a family trip when a family is big. The design objective was to create a home where they can relax and find peace of mind in their daily lives. In an apartment space where the family relations were dense, it is difficult to find an extra space. If the house is a spatial relation composed of physical and spiritual forms, the tensions between the family members are also contained in it.

 

ⓒYoungtaek Cheon

 

1층의 거실은 외부공간인 마당과 연결하여 자연 속에 머물 수 있도록 유도했다. 가족들의 침실은 저마다 개성적인 조망, 햇빛, 공간감을 갖도록 계획했다.

A relaxed space that releases a tense mind or atmosphere creates a gap and naturally enables the users to feel the change of time. The bedrooms of the family are positioned for a different views, sunlight, and sense of space, not in terms of efficient gross floor area or mere just a position of rooms.

 

ⓒYoungtaek Cheon
ⓒYoungtaek Cheon
ⓒYoungtaek Cheon
ⓒYoungtaek Cheon

 

합리적인 평면의 아파트에선 잠깐의 숨 돌릴 틈도 찾기가 어려웠다. 여유 있는 공간은 틈새를 허용하고 자연과의 접점을 늘리며 시시각각 달라지는 풍경의 변화를 선물한다. 이제는 ‘트인 집’에서 일상의 여유를 즐기기 바란다. 

The layout, therefore, resulted in an open (translated, “Teu-in” in Korean) structure, not closed space with wall structure, which allows the family to stay closer to the nature by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the nature (outdoor) and indoor space.

 

ⓒYoungtaek Cheon
ⓒYoungtaek Cheon

 

디자인 Design
투닷건축사사무소 Todot Architects and Association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조병규 ByungKyu Cho, 모승민 SeungMin Mo
디자인팀 Design team
천철규 Chris Cheon, 소정호 JungHo So, 이재준 JaeJun Lee, 심건규 KeonKyu Shim
건물 위치 Location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 Hopyeong-dong,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건축 형태 Type
신축 New-built
건축 용도 Programme
단독주택 Single Family House
대지 면적 Site area
857.0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169.01㎡
연면적 Total floor area
365.29㎡
규모 Building scope
2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19.72%
용적률 Floor area ratio
32.71%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근콘크리트 RC
시공 Construction
춘건축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STO
구조 Structural engineer
델타구조
기계 Mechanical engineer
(주)한빛안전기술단
전기/통신 Telecommunication equipment
(주)천일엠이씨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2
사진가 Photographer
천영택 Youngtaek Cheon
You might also like

신촌리 도예공방 + 주택

건축사사무소 서가 Seoga Architects

투월하우스 Two Wall House

아키리에 Archirie

적은집 C3318

공감 건축사사무소 GONGGAM & KINFOLKS

트리하우스 성수

에스엠엘 건축사사무소 SML

산본 파빌리온

드로잉웍스 DRAWING WORKS

트리비움 Trivium

얼라이브어스 Alive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