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Design
코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KODE Architects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김민호 Minho Kim
디자인팀 Design team
박근홍 Keunhong Park, 홍동관 Dongkwan Hong
건물 위치 Location
경기도 화성시 영통로60번길 20/ 20, Yeongtong-ro 60beon-gil, Hwaseong-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건축 형태 Type
신축 New-built
건축 용도 Programme
종교 시설 Religious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1,323.0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708.34㎡
연면적 Total floor area
2,490.31㎡
규모 Building scope
B1, 4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3.54%
용적률 Floor area ratio
136.23%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근콘크리트 RC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노출 콘크리트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노출 콘크리트, 비닐 페인트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3

도심 속 어우러진 풍경 ‘늘푸른교회’

코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KODE Architects
©Guuijin
에디터. 정지연  글 & 자료. 코드아키텍츠 KODE Architects

 

프롤로그: 새로운 도심 속 교회

우리는 새로운 건물이 기존 풍경에 녹아들며 만들어 내는 또 다른 풍경이 있다고 믿기에, 디자인 과정에서 대지 주변의 맥락과 풍경을 읽어내고 이해하는 일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대상지가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반월동은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새로운 도심의 모습을 꾸려나가고 있는 동네였다.

우리가 이 프로젝트에서 주안점으로 생각한 것은 두 가지였다. 첫 번째, “이미 존재하고 있는 풍경이 아닌, 새로이 만들어지고 있는 풍경 속에서 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두 번째, “도심의 풍경 속에서 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이곳에서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게 될 교회의 모습을 디자인하는 것은 매우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일이었다. 게다가 주변의 풍경이 한창 만들어지고 있는 과도기적 시기였기에 어떻게 완성될지 모르지만, 미래에 완성될 풍경과도 어울릴 수 있는 모습으로 만들어야 했다.

 

©Guuijin
©Guuijin
©Guuijin

 

대지 분석

대상지는 아파트와 대형 상가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숲 속의 사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레벨 차이가 거의 없는 평지로 도보 및 차량의 접근이 용이한 상황이었다.
대지의 전면부는 북서 방향으로 공사 중이나 추후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설 예정인 빈 부지와 이미 조성된 공원이 위치해 있으며, 우측에는 초등학교 건물이 인접해 있었다. 좌측에는 8m 도로를 사이에 두고 근린생활시설이, 남측 후면부는 아파트 건물과 인접해 있었다.

사거리에 위치해 있는 데다가 대지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환경이 공원, 지식산업센터, 학교, 근린생활시설, 아파트 등으로 모두 달랐기 때문에 도시적 맥락을 세심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남측에 위치해 있는 아파트가 대지 주변의 다른 아파트 건물들처럼 고층이 아닌 3층 정도의 작은 규모로, 채광 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아파트 규모가 작은 만큼 자칫 잘못하면 교회가 아파트 주민들에게는 부담스러운 건물로 느껴질 수도 있음을 고려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건축적 장치 또한 디자인에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단면 투시도 ©KODE Architects
1층 평면도 ©KODE Architects
입면도 ©KODE Architects

 

빛의 움직임을 그려내는 콘크리트

공사가 한참인 주변의 풍경이 예측되지 않는 상황에서 우리는 복잡한 도심 속 풍경에 대응하고 이웃들에게 부담스럽지 않은 건물을 만들기 위해 단순한 형태의 매스를 계획했다. 형태를 계획할 때와 마찬가지로 재료를 선택할 때에도 목표는 주변 풍경과의 조화였다.

콘크리트는 도심 속 풍경에 익숙한 재료임과 동시에 계획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익숙하면서 새로운 분위기를 위해 리브콘크리트 계획으로 입체감을 가져 콘크리트의 텍스쳐 뿐만 아니라 입면에서 빛과 그림자의 깊이감을 표현했다. 리브의 형태와 간격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느낌이 전혀 달라지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여러 모양과 간격으로 입면 스터디를 진행했고,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빛과 그림자의 대비가 가장 명확한 직사각형 형태의 리브콘크리트를 선택했다. 거푸집 제작 단계에서는 빛과 그림자의 섬세한 대비를 온전히 구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거푸집 목업을 테스트하였고, 시공오차를 최소화하고 합리적으로 예산을 사용하기 위해 모듈화된 금속판 거푸집을 제작해 시공했다.

주위의 풍경에 녹아들면서도 자신만의 빛을 표현해내는 건물의 입면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또 봄부터 겨울까지, 시간과 계절이 변화함에 따라 교회의 새로운 모습을 그려낸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빛의 움직임을 그려내는 리브콘크리트는 고층 건물들 사이에서 매우 단순하게 생긴 4층짜리 건물이 그 존재감과 상징성을 조용하지만 확실하게 드러낼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이자 건축적 장치 중 하나였다.

 

©Guuijin
©Guuijin

 

비워진 공간, 채워진 공간

우리는 비워진 공간보다 채워진 공간에 익숙하다. 밀집된 도시에서는 효율적인 쓰임을 위해 비워진 공간보다 채워진 공간이 더 많기 때문이다. 콘서트홀이나 스포츠 경기장 등 기능적 필요에 의해서 비워진 몇몇 공간들 있지만 일상에서 자주 마주하는 공간은 아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매주 주말마다 모이는, 지극히 일상적인 이곳에는 비워진 공간과 채워진 공간이 함께 존재한다.

교회의 채워진 공간은 종교 활동을 지원하는 소규모 공간이고, 비워진 공간은 이벤트 및 행사를 지원하는 대규모 공간이다. 이 관점에서 교회의 비워진 공간 역시 도시의 다른 비워진 공간들처럼 기능적 필요에 의해서만 계획된 것 같지만 이 프로젝트에 비워진 공간이 존재하는 다른 이유가 있다.

전체적인 조닝 계획에서 채워진 공간은 전면부에, 비워진 공간은 후면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기능적으로 사용되는 채워진 공간을 북측 전면부에 배치해 정면 도로 쪽 전망과 접근성을 확보했다. 비워진 공간은 남측 후면부에 배치해 고층아파트와 건물 사이의 완충 공간으로 사용된다. 동시에 천창을 통해 빛을 내부로 끌어들여 채광을 확보했다.

 

©Guuijin
©Guuijin

 

배려하는 건축

종교인에게 교회는 친근하고 익숙한 공간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겐 그저 낯선 미지의 공간이다. 주변에 비해 큰 볼륨이 아니어도 비종교인들에게는 종종 부담스럽게 느껴진다.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사랑을 이야기하는 종교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자연스럽게 지역에 녹아들어야 한다. 따라서 보행자의 시선에 노출되는 건물의 1층 입면은 투명한 유리로 개방감을 주어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유입을 유도하고, 2~3층의 입면은 이와 대비되는 솔리드한 리브콘크리트로 계획하여 간결하면서도 검소한 모습으로 교회의 입면을 완성하여 주변 이웃들에게 부담스럽지 않은 모습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하였다.

 

©Guuijin
©Guuijin

 

에필로그: 조용히 자리잡은 교회

고층 아파트로 둘러싸인 도시적인 풍경 속에서 이 프로젝트는 대상지 인근의 유일한 종교 건축물로서 그 상징성과 존재감을 드러내야했다. 종교 건축물에 상징성을 부여하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었지만 상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건물이 주변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었다. 또한 이웃 주민들에게 부담스럽지 않은 모습으로 다가가기 위해서라도 교회는 간결해져야 했다.

종교의 검소한 태도와 자세를 건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재료의 다양성을 최소화했다. 투명한 유리와 솔리드한 콘크리트로 두 재료가 서로 대비돼 입면이 보다 간결하게 읽히도록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빛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리브콘크리트의 입면은 도심 속 풍경에서 분위기를 변화시켜 존재감을 부각시킨다. 교회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형태의 매스로 디자인한 것, 도시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콘크리트라는 재료를 입면 재료로 선택한 것, 비워진 공간을 통해 기존 아파트 주민들과 이 도시에 새로이 자리 잡아 적당한 거리감을 형성해주는 것. 이는 주거시설과 종교시설이라는 이질적인 공간의 성격 차이를 극복하고 화합을 위해 도심 속에서 조용히 자리 잡고자 했던 건축적 태도였다. 우리는 이러한 디자인을 통해 종교적 가치를 실현하는 동시에 도시적 맥락 또한 존중하는 설계를 완성하고자 했다.

 

©Guuijin
©Guuijin
©Guuijin
©Guuijin

 

 

디자인 Design
코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KODE Architects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김민호 Minho Kim
디자인팀 Design team
박근홍 Keunhong Park, 홍동관 Dongkwan Hong
건물 위치 Location
경기도 화성시 영통로60번길 20/ 20, Yeongtong-ro 60beon-gil, Hwaseong-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건축 형태 Type
신축 New-built
건축 용도 Programme
종교 시설 Religious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1,323.0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708.34㎡
연면적 Total floor area
2,490.31㎡
규모 Building scope
B1, 4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3.54%
용적률 Floor area ratio
136.23%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근콘크리트 RC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노출 콘크리트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노출 콘크리트, 비닐 페인트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