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Design
구보건축사사무소 GUBO Architects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조윤희 Yoonhee Cho, 홍지학 Jihak Hong
디자인팀 Design team
조봉준 Bongjun Cho
건물 위치 Location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Yeonnamdong, Mapo-gu, Seoul, Republic of Korea
건축 형태 Type
신축 New-built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242.8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130.41㎡
연면적 Total floor area
421.38㎡
규모 Building scope
5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9.82%
용적률 Floor area ratio
193.28%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근콘크리트 RC
시공 Construction
지음씨엠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콘크리트노출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수성페인트, 콘크리트노출, 원목마루, 콘크리트 폴리싱
구조 Structural engineer
곤구조기술사사무소 GON Structural Engineers
기계 Mechanical engineer
두현
전기/통신 Telecommunication equipment
엠케이청효 주식회사
조경 Landscape
오픈니스 스튜디오
인테리어 Interior
더단디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2
사진가 Photographer
노경 Kyung Roh

위아연 We Are Yeon

구보건축사사무소 GUBO Architects
에디터. 김태진  글 & 자료. 구보건축사사무소 GUBO Architects

 

단지 vs 동네

우리의 도시는 효율적 주거환경 인프라 공급을 중시하면서, 단지형 대규모 주택공급이 주된 개발 방식으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다. 이는 녹지의 공급, 다양한 편의시설, 협소한 가로망의 개선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장점을 지닌 수단이기는 하지만, 그 부작용도 점차 부각되고 있다. 단지 중심의 공간 단위가 도시 속에 자리하면서 주변에 대해 폐쇄적인 태도를 취한다거나, 다양한 프로그램 때문에 복합된 도시 가로 특유의 활력이 사라진다거나, 실핏줄처럼 다이내믹하게 펼쳐져야할 도시 공간 네트워크가 단순화돼 차량 이동 중심의 도시로 바뀌는 등 다방면에서 그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아직 단지화되지 않고 도시의 원모습을 간직한 소규모 필지가 모인동네는 점차 중요한 가치로 주목받고 있다.

 

ⓒKyung Roh
ⓒKyung Roh
ⓒKyung Roh

 

서울 서대문구 연남동은 대규모 개발의 파도에서 한 켜 물러선 채 소규모 필지의 구조가 오랫동안 변화 없이 유지된 동네다. ‘위아연’이 들어선 대지의 형상은 유래가 깊은 동네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경의선과 맞닿은 대지는 규칙적인 그리드 형태로 나누어진 필지와 1970년대까지 경의선 부근에서 농사를 지었던 농지가 자연발생적으로 충돌한 이형의 형상을 띠고 있었다.

남북 방향으로 기다란 대지는 폭 7m 내외이며, 도로와 접하는 구간은 비좁아 차량의 진출입구와 보행통로를 넣기도 넉넉지 않은 상황이었다. 계획하기 녹록지 않은 대지의 조건에 일조사선제한을 더하니 건축가에게는 조금의 여유도 남지 않아 긴장감을 갖고 선 하나 하나를 정확히 그려가야만 했다.

 

ⓒKyung Roh
동측면 ⓒGUBO Architects
서측면 ⓒGUBO Architects
단면 ⓒGUBO Architects

 

동네를 만드는 건축을 위한 요건

요즘 동네는 우리가 흔히근린생활시설(근생)혹은상가주택이라고 부르는 소규모 주거 및 상업 복합 건축이 일상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온갖 기능을 만능상자처럼 담아내며 그 모습을 갖추어 간다. 위아연은 제 2종 일반주거지역에 위치한 소규모 도시 필지가 대부분 그렇듯 저층부는 근린생활시설, 상층부는 다가구 주택으로 구성해야하는 전형적인 근생 건축물이다.

얼마 남겨지지 않은 동네의 일상적 환경을 채우고 있는 이 건물은 도시 가로에서 단지 중심의 도시가 제공하기 어려운 활력과 우연한 만남, 뜻밖의 이벤트들을 생성해준다. 하지만 그 역할의 중요성에 비해 건축 환경은 영세한 경우가 많아 양질의 근생 건축이 도시에 제공되기란 쉽지 않다. 그렇게 무심하게 계획된 필로티 주차장, 가로와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폐쇄적 공간 등은 동네의 일상을 온전히 담아내기 버거운 환경을 조성한다.

 

ⓒKyung Roh
ⓒKyung Roh
ⓒKyung Roh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근생 건축이 동네를 만드는 건축으로서의 가능성을 구현하고자 했고, 세 가지 단순한 원칙을 정했다. 첫 번째는 필로티 주차장의 환경을 개선하고자 했다. 법규 상 반드시 대지 안에 마련해야하는 부설주차장을 소규모 필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1층 공간을 필로티 주차장으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 필로티 주차장은 동네의 보행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대표적 공간이다.

 

ⓒKyung Roh
ⓒKyung Roh

 

깊은 필로티 하부는 골목에 어두운 음영을 만들고 비좁은 대지로 인해 가로를 주차장의 차로로 활용하게 되면서, 주차된 차량이 길을 면하여 늘어서게 된다. 이는 골목길 풍경을 걷기에 마뜩지 않은 곳으로 만드는 주된 요인다. 위아연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면적의 손실이 있더라도 주차장의 차로를 대지 안에 두었다. 주차장 대지 후면은 시야를 막는 벽을 없앴다. 주차장 측면은 큰 창을 가진 이웃 근생이 면하고 있어 내부가 밝다. 넓게 확보한 주차장은 필요에 따라 장터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를 열 수 있어 동네의 작은 광장처럼 사용되길 바라는 의도도 포함하고 있다.

 

ⓒKyung Roh
ⓒKyung Roh
ⓒKyung Roh
ⓒKyung Roh

 

두 번째로는 1층에 접근성이 좋은 근린생활시설을 두려고 했다. 이는 필로티 주차장과 연계된 문제로, 주차장 계획의 편의를 우선적으로 하다 보면 1층에 근린생활시설이 빠지거나, 필로티의 안쪽으로 두게 되는 경우가 많다. 1층에서 골목을 마주하는 상점은 동네의 활기와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다. 7평 정도 되는 작은 공간이지만, 골목을 오가는 행인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곳에 근린생활시설을 두어 필로티 주차장의 영향을 최소화하자는 의도다. 1층 근린생활시설은 2층 일부를 함께 임대할 수 있도록 계단으로 연결해 비좁은 공간의 문제를 보완했다.

 

ⓒKyung Roh
ⓒKyung Roh
ⓒKyung Roh

 

세 번째는 동네 골목길이 건축물 안에서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했다. 위아연은 1층과 2층에는 근린생활시설, 3층에서 최상층까지는 세 개의 집이 자리잡고 있다. 우리는 1층뿐 아니라 상층부의 공간도 가로에 면한 동네 안에 거주한다는 감각을 만들고 싶었다. 이를 위해 골목에서 연결되는 길을 쌓아 올렸다. 내부의 가로는 건물 전면부에 드러나기에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오고 가는 일상적인 모습은 동네의 풍경이 된다. 공간의 여유를 갖기 어려운 대지 조건이지만, 내부의 가로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작은 반원형 보이드void를 낼 수 있는 여지도 찾아 냈다. 이는 내부의 가로에서 각각의 집으로 들어가는 여정 속에서 건물 내로 빛과 여유를 들여오며 입체적인 깊이감을 주어 실제 공간의 크기보다 확장된 감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Kyung Roh
ⓒKyung Roh

 

제약이 이끌어내는 형태의 리얼리티

건물의 형태는 대지를 둘러싼 여러 제약조건을 반영하고 남겨진 최대한의 볼륨을 그대로 드러낸다. 이형의 대지, 주변 필지와의 복잡한 관계로 인해 형태를 단정하게 정리하기는 어려웠다. 오히려 이러한 조건을 고스란히 받아들여 건물의 윤곽을 만든다면 그 자체가동네건축의 리얼리티가 된다고 생각했다. 마감 재료는 복잡한 형태를 하나의 덩어리로 인지할 수 있도록 밝은 갈색의 스터코 외단열 시스템으로 한정했고, 내부화된 가로 부분만 구별돼 도드라지도록 콘크리트 노출로 선택했다.

단지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는 우리 도시 일상의 카운터 파트로 작동하며 도시인의 거주 환경에 균형감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네를 만드는 근생건축은 건축가의 중요한 책무 중 하나다. 골목과의 긴밀한 연계를 꾀한 위아연이 동네를 만들어가는 건축으로서 제 기능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yung Roh
ⓒKyung Roh

 

디자인 Design
구보건축사사무소 GUBO Architects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조윤희 Yoonhee Cho, 홍지학 Jihak Hong
디자인팀 Design team
조봉준 Bongjun Cho
건물 위치 Location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Yeonnamdong, Mapo-gu, Seoul, Republic of Korea
건축 형태 Type
신축 New-built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242.8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130.41㎡
연면적 Total floor area
421.38㎡
규모 Building scope
5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9.82%
용적률 Floor area ratio
193.28%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근콘크리트 RC
시공 Construction
지음씨엠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콘크리트노출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수성페인트, 콘크리트노출, 원목마루, 콘크리트 폴리싱
구조 Structural engineer
곤구조기술사사무소 GON Structural Engineers
기계 Mechanical engineer
두현
전기/통신 Telecommunication equipment
엠케이청효 주식회사
조경 Landscape
오픈니스 스튜디오
인테리어 Interior
더단디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2
사진가 Photographer
노경 Kyung Roh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