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Design
건축사사무소 H2L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황정현 Jeonghyun Hwang, 현창용 Changyong Hyun, 최중철 Joongchurl Choi
디자인팀 Design team
김회승 Hoeseung Kim
건물 위치 Location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Seogyo-dong, Mapo-gu, Seoul, Korea
건축 형태 Type
리노베이션 Renovation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516.9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216.90㎡
연면적 Total floor area
848.80㎡
규모 Building scope
B1 ,4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0.67%
용적률 Floor area ratio
147.11%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골구조 Steel Frame, 철근콘크리트 RC
시공 Construction
자담건설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치장벽돌 Brick, 크로스패널 Expended Metal Fabric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노출 콘크리트
구조 Structural engineer
이든구조컨설턴트
기계 Mechanical engineer
우리 ENC
전기/통신 Telecommunication equipment
㈜익스플래니트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3
사진가 Photographer
이남선 Namsun Lee

버티컬 아크 Vertical Arc

건축사사무소 H2L
ⓒNamsun Lee
에디터. 최성우  글 & 자료. 건축사사무소 H2L  Architects H2L

 

친숙한 모퉁이 건물의 낯선 건축적 유산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인근의 거리는 수많은 상점이 간판 전쟁을 벌이고 있어 건축물의 맨얼굴을 보기 힘든 서울의 대표적 번화가 중 하나다. 건축주는 서교동 이면도로 모퉁이의 길고 얕은 필지에 위치한 편의점, 주점, 음식점 등의 상점으로 채워져 있던 건물의 리노베이션을 의뢰했다. 1986년부터 35년여를 버텨낸 건축물의 기능적 전환, 건물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의 전환, 그리고 무엇보다 진보적 리모델링을 통해 이 거리의 분위기가 전환되길 기대했다.

 

ⓒNamsun Lee

건축가는 오래된 건물을 리모델링하기에 앞서 오래전 이곳을 설계한 건축가가 남기고자 했던 건축적 유산을 느긋하게 찾아내는 것부터 시작한다. 현장을 찾은 우리는 형형색색의 간판과 과장된 활자에 가려져 있어 보이지 않았던 건축물의 장면들을 발견했다. 

 

ⓒNamsun Lee

 

가로로 길게 거리에 접해 있는 점을 살려 무심히 걸어가는 보행자의 무던하고 담담한 보행 리듬을 형상화한 듯한 아치형 창호가 무척 매력적인 유산이었다. 이처럼 길게 펼쳐진 상가 건축의 입면을 동일한 9개의 기하학적 기호를 반복적으로 사용한 점은 1986년 당시의 기준에서도 상당히 파격적인 시도였다. 이 개구부들을 자세히 보면, 완벽한 아치가 아닌 장방형 개구부 위 곡선의 일부, 즉 아크Arc를 앉힌 미완의 아치Arch다.

리모델링 전 입면도 ⓒArchitects H2L

 

40여 년 전 철근콘크리트구조 건물에 아크와 아치 형태의 창을 만들었던 당시 건축가의 도전이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다. 창이 설치된 부분은 장식적인 효과와 깊이감을 더하기 위해 계단형으로 3단으로 벽돌을 들여쌓았고, 출입문은 아치에 가까운 비례로 만들었다. 벽을 움푹 파서 조각상이나 촛대를 올려주는 요소인 벽감형 창호를 출입문 양옆에 설치해 장식적인 요소를 더했다. 또한 각 층을 구분하는 띠장은 붉은 기와 처마를 덧붙여 전통의 계승과 혼용에 대한 당시 건축가의 고민까지 느낄 수 있었다. 건물이 가진 귀한 자산을 잘 유지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불어넣고, 시대적 요구에 충실히 대응할 수 있도록 생명력을 부여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로 받아들였다.

 

ⓒNamsun Lee

 

시그니처의 발견, 그리고 은일적 재구성
간판에 가려져 있던 시그니처Signature를 잘 살리는 것이 첫 번째 과제였다. 기존 건축물의 저층부는 큰 틀에서 그대로 보존하되, 아크와 아치의 연속성을 강조할 수 있도록 다른 요소들은 정리했다. 적벽돌로 세심하게 쌓아 낸 곡면의 개구부가 훼손되지 않게끔 기존 건축물의 면은 그대로 유지하고, 붉은 기와로 장식한 처마, 돌출된 벽감 창호, 오래된 개구부 프레임, 낡은 화단 정도를 변경 범위에 포함했다.

 

ⓒNamsun Lee

 

처마는 기와를 철거하고 돌출부를 잘라낸 후 무채색으로 도장했고, 벽감 창호는 철거하되 새로운 적벽돌로 채워내 기존 창호의 흔적으로 남겨 두었다. 건축물 앞에 설치되어 있던 화단과 계단 등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난 후, 닫힌 벽과 열린 개구부, 벽돌의 면과 아치가 뚜렷하게 보였다. 개구부의 형태적 특성과 무관하게 여닫음의 편의만을 위해 설치되었던 창호는 통창으로 변경하고, 아치의 외곽선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먹색 프레임을 설치했다. 빗물을 흘려보내 줄 판인 프래싱Flashing 등 세세한 요소까지 기존 건축물의 아이덴티티를 살리면서 지속가능한 기능성까지 확보하고자 했다.

 

ⓒNamsun Lee

 

이전 사용자가 어울리지 않는 재료로 쉽고 빠르게 증축했던 3층은 전면 철거하고 새로운 볼륨을 만들어 내기로 하였다. 장방형 건축물의 좌우는 비워 두고 테라스를 만들었다. 여유 공간이 생겨 거리와 소통이 가능하고, 가로축으로도 여유를 두고자 했다. 또한 연면적의 여유가 생겨 한층 더 쌓을 수 있게 되어 고층부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디자인이 가능해졌다.

 

ⓒNamsun Lee

 

고층부는 저층부의 아크와 아치 형태를 직접적으로 모방하지 않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시도를 하고자 했다. 액스팬디드 메탈로 제작한 이중 외피가 그 시도의 결과이다. 아크의 물결은 저층부처럼 벽돌로 완벽히 시선을 차단한 것과는 다르게 건축과 공간을 유연하게 보여주는 은근한 존재가 될 수 있게 했다. 설계 과정에서 연속되는 피치Pitch의 간격, 메탈 페브릭의 개구율, 아크와 아크 접속부의 디테일 등을 목업Mock-up하며 치열하게 고민하였다. 그 이유는 형태를 드러내고자 함이 아닌 ‘은일(隱逸: 세상을 피하여 숨다)’하게 깃들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Namsun Lee
ⓒNamsun Lee
ⓒNamsun Lee

 

새로운 용도, 기능을 위한 합리적 재구조화
건축을 다시 쓰고 생명을 연장하는 일은 건축의 피부와 피복을 다듬는 일로 끝나지 않는다.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건축의 뼈대와 계통, 내부기관을 새로운 목적에 맞게 완전히 고쳐야 한다. 버티컬 아크의 기존 내부공간은 크게 2개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었고, 내부계단 또한 각각 따로 설치되어 있었다. 증축된 3층은 후면에 달아맨 별도의 동선으로 출입하고, 지하층 역시 별도의 계단으로 진입하는 등 철저히 임대단위의 편의를 위해 개별적으로 접속되고 있어 하나의 건물임이 무색했다.

 

ⓒNamsun Lee
ⓒNamsun Lee

 

기존 건축물을 구성하던 프로그램의 전환을 통해 도시에 새로운 거점이 되길 희망한 클라이언트의 생각에 맞도록 건축물의 중심부의 바닥판을 걷어내고 엘리베이터와 계단을 설치했다. 소위 ‘코어Core’를 형성해 준 것이다. 이것으로 코어를 중심으로 주출입구가 정의되고, 보행 접근 방법의 위계가 만들어 졌으며, 전이공간과 공용공간을 하나로 묶어 낼 수 있었다.

 

ⓒNamsun Lee

 

또한, 각기 흩어져 사용하던 화장실도 한 곳으로 모아 임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임차인 및 방문객을 위한 편의성도 높였다. 철거 및 개축한 3~4층은 이중외피에 의지하면서도 볼륨을 정리해 모든 임대공간에서 접속하고 활용할 수 있는 외부공간을 만들었다.

 

ⓒNamsun Lee
ⓒNamsun Lee
ⓒNamsun Lee

 

우리는 여러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공간 내에서 기존 건축물이 그 자리에 그대로 있으면서 새로운 건축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공동체적 관점으로 볼 때 가치있는 방법임을 깨달았다. 바로 도시의 맥락도 유지하고 건축이 환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과거의 건축가가 만들어 놓은 유의미한 건축적 유산을 다시 세상에 드러내는 방법, 그리고 현재의 건축가가 이어 받아 또 다른 시선으로 땅과 기존 건축을 읽어 사회에 메시지를 전한다는 점에서 또한 가치가 있다.

 

ⓒNamsun Lee
ⓒNamsun Lee
ⓒNamsun Lee
ⓒNamsun Lee
ⓒNamsun Lee
ⓒNamsun Lee
ⓒNamsun Lee

 

디자인 Design
건축사사무소 H2L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황정현 Jeonghyun Hwang, 현창용 Changyong Hyun, 최중철 Joongchurl Choi
디자인팀 Design team
김회승 Hoeseung Kim
건물 위치 Location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Seogyo-dong, Mapo-gu, Seoul, Korea
건축 형태 Type
리노베이션 Renovation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516.9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216.90㎡
연면적 Total floor area
848.80㎡
규모 Building scope
B1 ,4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50.67%
용적률 Floor area ratio
147.11%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철골구조 Steel Frame, 철근콘크리트 RC
시공 Construction
자담건설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치장벽돌 Brick, 크로스패널 Expended Metal Fabric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노출 콘크리트
구조 Structural engineer
이든구조컨설턴트
기계 Mechanical engineer
우리 ENC
전기/통신 Telecommunication equipment
㈜익스플래니트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3
사진가 Photographer
이남선 Namsun Le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