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Design
김재경 건축연구소 JK-AR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김재경 Jae K. Kim
디자인팀 Design team
김재경, 윤지선, 정나영, 김규태(JK-AR), 정창운(건축사사무소소윤), 조민구(해가패시브건축)
건물 위치 Location
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로 195 / 195, Manggyeong-ro, Jinju-si, Gyeongsangnam-do, Korea
건축 형태 Type
신축 New-built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268,212.0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109.98㎡
연면적 Total floor area
119.19㎡
규모 Building scope
1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4.1%
용적률 Floor area ratio
4.44%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목조구조 Wood Frame, 철근콘크리트 RC
시공 Construction
대조건설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탄화목 SYP 사이딩, 알루미늄 지붕재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자작나무 합판, 화이트오크 합판, T30 삼나무데크
구조 Structural engineer
환구조
기계 Mechanical engineer
유성기술단
조경 Landscape
김재경건축연구소 JK-AR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2
사진가 Photographer
노경 Kyung Roh

빛의 루 Pavilion of Floating Lights

김재경 건축연구소 JK-AR
ⓒRoh Kyung
에디터. 조희진  글 & 자료. 김재경건축연구소 JK-AR

 

빛의 루 : 물빛나루쉼터

진주의 건축은 촉석루(14세기), 국립진주박물관(1984), 그리고 경남문화예술회관(1988)과 같은 시대를 대표하는 걸작에 비춰 평가받아야 하는 운명에 있다. 이것은 건축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전통 해석에 관한 평가이기도 하다. 전통의 재해석에 더해 ‘빛의 루’의 대지가 가진 중요성도 프로젝트에 새로운 가치를 요구한다. 북측에는 촉석루와 국립진주박물관, 동쪽에는 경남문화예술회관, 그리고 남쪽에는 미래에 새롭게 탄생할 구 진주역사 문화재생사업지가 위치한다. 이러한 입지의 중요성과 진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새로운 건축 제안에 대한 요구에 빛의 루는 ‘21세기 촉석루’를 테마로 새로운 누각 건축을 제시하며 다음과 같이 대응했다.  

 

ⓒKyung Roh
ⓒKyung Roh

 

우선 빛의 루는 전통을 계승이 아닌 창조의 시작으로 바라봤다. 이러한 태도는 국립진주박물관과 경남문화회관에서도 보인다. 그러나 빛의 루는 건축 양식을 바탕으로 전통 건축의 요소를 차용해 형태적으로 변화시킨 두 선례와 다른 출발을 가졌다.

 

ⓒKyung Roh
ⓒKyung Roh

 

빛의 루는 목조건축의 복권을 선언하며 기술을 사용해 전통 목구조를 재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전통 건축에서 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공포栱包와 같은 가구식 구조 결구는 디자인 컴퓨테이션을 통해 빛의 루를 지탱하는 여섯 개의 나무로 재탄생했다. 촉석루 전면 여섯 개 기둥을 오마주한 빛의 루의 구조 결구는 못과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나무 부재들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져 전통의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현했다. 이를 위해 모두 다른 형태의 비표준화 부재들만으로 이루어진 구조체에 대한 시공자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3차원의 도면으로 이루어진 조립 매뉴얼을 개발했다. 이에 더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도입해 효율적인 시공성을 고려했다. 전통 건축에서 모티프를 가져왔지만, 설계에서 제안하고 시공에서 구현한 방식은 온전히 최신 기술의 적극적 사용에 의해 가능했다.

이로써 빛의 루는 전통 목구조가 우리 시대의 공학 목재와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으로 다시 탄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전통의 방식을 새롭게 해석하고 구현하고 적극적으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이 프로젝트가 가진 중요한 목표 중 하나였다. 이러한 점에서 빛의 루는 과거와 현재의 하이브리드 건축이다.

 

ⓒKyung Roh
ⓒKyung Roh

 

다음으로 빛의 루는 누각樓閣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한다. 과거의 누각은 특정 계층을 위해 사적으로 사용되는 특별한 장소이거나 군사적인 관측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누각은 현대에 존재하지 않는 건축 유형이며 누각이 원래 의미와 다르게 파빌리온이라는 서양의 건축 유형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빛의 루는 누각의 의미를 재생하고, 전통 누각의 떠 있는 마루는 빛의 루에서 공공을 위한 플랫폼이 됐다. 시민들이 남강과 망진산 등 주변의 자연환경은 물론 도시의 풍경을 동시에 관조하는 장소가 된 것이다. 전면과 좌·우측 3면의 유리 벽은 방문자들이 시간과 계절에 따라 변해가는 주변 환경을 여과 없이 경험하게 한다.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과 단열 성능을 신중히 고려해 선정한 유리는 내외부 사이의 경계를 흐리고 프로젝트에 개방성을 더한다. 나무 구조는 보다 투명한 유리로 외부로 투영돼 입면 요소로 인식된다. 구조가 내부 공간을 이루는 것은 물론 건물의 외관이 되는 것이다.

가을 밤, 남강에서 열리는 도시의 대표적 이벤트인 유등축제에서 ‘열림’의 개념은 반대가 된다. 내부 조명에 의해 건축 자체가 유등이 되어 남강을 비춰 도시를 위한 축제의 장이 된다. 조망과 상징적인 입면을 위한 개방성의 개념과 내부 환경의 기능성을 동시에 이루기 위해 프로젝트는 에너지 효율, 단열성, 기밀성을 면밀히 살펴 시공됐다. 이로써 온도와 습도 변화 폭이 큰 우리나라 기후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Kyung Roh
ⓒKyung Roh

 

유일하게 막혀 있는 동쪽 벽은 내진을 위한 방편이면서 빛의 루가 가진 인공과 자연의 공존에 대한 의미를 담는 배경이기도 하다. 방문객이 진입하며 처음 마주하게 되는 동 측벽의 외부는 아침 햇살에 비친 망진산의 나무 그림자를 담는다. 반대로 오후에는 석양의 빛에 드리워진 나무 구조체의 그림자를 담는 내벽이 된다. 벽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방문자는 자연의 나무, 인공의 나무, 그리고 나무 그림자, 즉 세 개의 다른 나무를 동시에 경험한다. 전통과 현대의 공존과 함께 자연과 인공의 공존 또한 빛의 루가 궁극적으로 말하고 싶은 메시지이다.

 

ⓒJK-AR
ⓒKyung Roh
ⓒKyung Roh

 

촉석루가 몇백 년을 지나 계속 발전했다면, 특정 계층을 위하고 특수한 목적을 가졌던 누각 건축이 기술 발전과 공공성의 대두로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과 다르게 진화했을지도 모른다. 빛의 루는 이러한 상상 속에서 만들어졌다. 빛의 루는 새로운 누각이며  21세기 촉석루이다.

 

ⓒKyung Roh
ⓒKyung Roh

 

Pavilion of Floating Lights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aimed to reinvent East Asian timber architecture, especially ‘-ru’, the East Asian equivalence of a pavilion on a bigger scale. Traditional assembling techniques and structural systems, such as wooden brackets, were re-created in six tree-like columns of this project. These tree structures pay homage to six pillars of the front side of Chokseok-ru촉석루 built in 1365, the most symbolic building in the city of Jinju, Korea where the project is located. 

 

ⓒJK-AR
ⓒKyung Roh

 

Also, the project was intended to prevent using nails and adhesives to inherit the original carpentry methods. However, for better construction productivity, complex plywood members fabricated by a CNC router were assembled to form tree-like structures by virtue of Augmented Reality. In this way, The Pavilion of Floating Lights showcased the potentiality of the forgotten East Asian craftsmanship that can be reborn with the technology of our time. 

 

ⓒKyung Roh
ⓒKyung Roh

 

In addition, the project proposed a new type of ‘-ru’ as a civic platform for the city of Jinju, one of the most historical towns in th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Originally, the definition of ‘-ru’ is an iconic building with elevated floors to have open views for private entertainments or military observations. However, the project converted the traditional purposes of ‘-ru’ to more of a public one. The site faces the Nam River which has been the background for notable historical events in the city. The project aimed to be an icon alongside the river, in particular, for the Floating Lights Festival, which is the most well-known event in the city. 

 

ⓒKyung Roh

 

Furthermore, the project became a place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natural surroundings and urban environments. Before the city was urbanized, the riverside was surrounded by bamboo forests. Inspired by this lost scene and memory of the city, the interior tree columns generated a ‘pathway in the forest’ space. Also, the three-sided glass wall blurs the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o realize the idea of openness. Finally, the tree structure creates two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first, its own interior atmosphere and second, a symbolic figure as a facade.

 

디자인 Design
김재경 건축연구소 JK-AR
책임 건축가 Architect in Charge
김재경 Jae K. Kim
디자인팀 Design team
김재경, 윤지선, 정나영, 김규태(JK-AR), 정창운(건축사사무소소윤), 조민구(해가패시브건축)
건물 위치 Location
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로 195 / 195, Manggyeong-ro, Jinju-si, Gyeongsangnam-do, Korea
건축 형태 Type
신축 New-built
건축 용도 Programme
근린생활시설 Commercial Facilities
대지 면적 Site area
268,212.00㎡
건축 면적 Building area
109.98㎡
연면적 Total floor area
119.19㎡
규모 Building scope
1F
건폐율 Building to land ratio
4.1%
용적률 Floor area ratio
4.44%
주요 구조 Main Structure
목조구조 Wood Frame, 철근콘크리트 RC
시공 Construction
대조건설
외장 마감재 Exterior finish
탄화목 SYP 사이딩, 알루미늄 지붕재
내부 마감재 Interior finish
자작나무 합판, 화이트오크 합판, T30 삼나무데크
구조 Structural engineer
환구조
기계 Mechanical engineer
유성기술단
조경 Landscape
김재경건축연구소 JK-AR
완공 연도 Year completed
2022
사진가 Photographer
노경 Kyung Roh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