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이면서 아무것도 아닌 것

[Architects] 백에이어소시에이츠
©BRIQUE Magazine
에디터. 김지아  사진. 김재윤, 윤현기  자료. 백에이어소시에이츠 100A associates

 

① 작고 단단한 성 — ‘소설가의 집’ 공간 이야기
② [Interview] 나를 닮은 집 — 소설가의 집 짓기 프로젝트

③ [Architects] 모든 것이면서 아무것도 아닌 것 — 백에이어소시에이츠

 


 

상업 공간부터 주거 공간까지 개성이 빼곡히 묻어나는 프로젝트를 다수 선보여온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백에이어소시에이츠는 조형적 아름다움에 앞서 공간에서의 삶과 관계에 주목한다. 공간을 영위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그들의 삶을 정돈해 공간으로 구현하는 일을 목표 삼는다. 건축주와의 깊은 교감, 그리고 시간이 쌓여 빛을 발할 공간에 내재한 시제의 감각은 작업을 관통하는 어휘다.

 

(왼쪽부터) 김동수 백에이어소시에이츠 실장, 건축주, 안광일 소장 ©BRIQUE Magazine

 

프로젝트를 의뢰할 때 건축주가 장문의 텍스트를 보내왔다고요. 어떤 내용이 담겨 있었나요?
글의 제목은 ‘집 짓기 프로젝트’였습니다. 프로젝트라는 말이 어쩌면 사무적으로 다가올 법한데 그만큼 전 과정에 열의를 가지고 임하겠다는 의지처럼 느껴졌어요. 글에는 대략적인 집 짓기의 목적과 도달하고자 하는 방향성, 내면의 성향, 집에 대한 심상적 이미지 등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 외에도 키와 몸무게, 시력, 청력과 같은 기본적인 신체 스펙부터 좋아하는 색과 브랜드, 중요시하는 가치까지 세세히 적혀 있었죠. 도면뿐 아니라 다양한 내면의 생각을 담은 텍스트를 건네왔습니다. 이는 건축가와의 소통을 염두에 둔 것이기도 하겠지만, 스스로를 안심시키기 위한 그리고 이 작업의 뿌리가 되는 증거를 남기고자 한 마음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 싶습니다. 어느 쪽으로나 일반적이지는 않아 흥미롭게 생각했습니다.

 

주택 설계에 응할 때 어떤 부분이 중요하게 작용하나요?
프로젝트를 선택하게 되는 데에는 많은 요소가 있습니다. 그리고 현실적인 부분을 무시할 수 없죠. 하지만 우리에게 찾아오는 이들이 공간에 품은 마음가짐에 대해 오래 생각하려 합니다.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일종의 동물적인 교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설계의 방향성 역시 대부분 건축주에게서 비롯되죠. 특히 주택은 거주자에 의해 계획되고 구현되어야 하는 공간이므로 건축주가 어떻게 살아왔고 어떻게 살아가고자 하는지를 파악하는 일이 우리에게는 가장 중요합니다.

 

방화동 골목 끝자락에 위치한 대지가 특징적입니다. 인근 건물들에 그야말로 둘러싸여 있죠. 대지 조건이 설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건축주가 원하는 공간과 실제 주어진 현실이 완전히 부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이 땅 역시 많은 한계를 안고 있었지만 건축주가 원하는 기능과 목적, 디자인의 방향성이 분명했고 그것을 풀어가는 소통의 과정이 있었기에 어려움을 헤쳐나갈 수 있었죠. 다른 프로젝트도 마찬가지입니다만 이곳에서는 작은 자투리 땅도 남기면 안 된다는 마음으로 최대한 대지를 활용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좁은 땅이 건축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함은 없었나요?
크고 작음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겁니다. 넘치는 크기의 땅을 가졌음에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자신에게 필요한 땅이 어느 정도인지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공간을 계획하는 사람도 있죠. 건축주는 명확한 후자였기 때문에 공간의 크기가 부족함으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물론 주어진 크기가 여유롭다면 디테일하게 살릴 수 있는 부분이 있고 묻어갈 부분도 있게 마련이죠. 공간의 면적에 비해 요구사항이 디테일해 어려운 점은 분명 있었습니다. 다만 그건 디자인을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한 고민이었지 면적에서 비롯된 어려움은 아니었습니다. 10여 년간의 프로젝트 가운데 규모는 가장 작지만 고민은 여느 프로젝트보다 많이 한 작업이었습니다.

©100A associates
©Jaeyoun Kim

 

협소주택 대신 ‘성’이라는 표현이 인상적입니다. 단순한 디자인 어휘라기보다 집에 대한 건축주와 건축가의 생각을 함축한 말처럼 느껴져요.
협소주택이라는 말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그저 작고 온전한 집을 계획했을 따름이죠. 물리적, 심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공간을 원한 건축주의 바람에 따라 성의 형태를 떠올렸습니다. 외관은 많은 변화를 주기에 한계가 있었지만, 땅의 축과 향을 고려해 적절한 창호 배치와 건축의 비례를 주요하게 고민했습니다. 외부의 톤은 주변의 색감을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독립적인 힘을 가질 수 있는 붉은 계열로 선택했고, 거친 질감의 재료와 동화적인 색감의 대비를 의도했습니다. 어른이지만 아이 같은 내면을 가진 건축주와 닮아 있도록 말입니다.

 

이 집에서 가장 좋아하는 공간을 꼽는다면요.
4층 작업실 겸 주방 공간입니다. 다른 층과는 달리 뿔처럼 솟은 천장이 특징적이죠. 천창이 개방감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시시각각 변하는 빛을 들여 다양한 감정을 느끼게 합니다. 공사를 진행할 때도 그 창을 보며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가장 높이 또는 가장 안쪽에서 건축주에게 안식을 주는 공간이 되길 바랐죠. 무엇보다 건축주가 실제로 그렇게 사용하고 있어 굉장히 뿌듯합니다.

 

그간 다수의 주택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주택 설계의 매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타인의 삶을 관조한다는 것. 설계자와는 전혀 다른 삶의 방식과 태도를 가진 사람에게 이입되어 간접 경험을 하게 되는 점이 주택 프로젝트의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마치 책을 읽듯 또는 배우가 연기를 하듯 그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완전한 타인이 됩니다. 프로젝트가 끝나더라도 때론 이러한 경험이 잔재처럼 남아 삶의 태도와 자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죠.

 

©Jaeyoun Kim
©BRIQUE Magazine

 

동시대의 집이 가져야 할 가치에 대한 생각을 나누어 준다면요.
그동안 주거 공간의 본질적 가치가 재산적 가치로 상쇄되어 가는 현상이 불편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본질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피어오르는 현상을 목격할 수 있었죠. 개인적인 가치관으로는 주거 공간은 재산적 가치와는 구분된, 인간의 삶을 보호하고 안식할 수 있는 장소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양극단의 가치 중 무엇이 옳고 그른지 논하는 일은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어떠한 방향이든 스스로의 가치관에 따라 주거 공간의 가치를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나요?
공간의 영역이 건축으로 확장된 작업을 하면서 실내건축보다 긴 생명력을 가진 공간에 대한 책임감을 느낍니다. 시간이 쌓여가는 공간을 마주하는 것은 감정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만큼 희열이 크기도 합니다. 100A라는 이름처럼 아무것도 아닌 것, 동시에 모든 것이 자리 잡을 수 있는 틈을 생각하고 배려할 수 있는 팀으로 성장했으면 합니다. 너무 평범하고 당연해서 모두가 지나치는 것들을 우리의 작업 안에서 귀하게 자리 잡도록 한다면, 또 그로 인해 부족함 없이 가득 채워진 공간을 목격한다면 진정으로 아름다운 일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깊고 아름답고 정직하게 살지 않고서 즐겁게 살 수는 없다. 즐겁게 살지 않으면서 사려 깊고 아름답고 정직하게 살 수도 없다’는 알베르 카뮈의 말처럼 아름답고 정직하게 마음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이끌어가도록 내버려둘 생각입니다. 이 무형의 미가 위안이 되리라 믿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들을 원동력 삼아 오랫동안 즐겁게 작업을 이어가고 싶습니다.

 

‘소설가의 집’  전체 이야기를 담은 ‹브리크brique› vol.11 👉더 알아보기

 

You might also like

건축에도 올드머니룩Old Money Look이 있을까?

[정해욱의 건축잡담] ⑩ 정통과 퓨전의 변증법에 관하여

스테이 창업 전, 반드시 두드려보아야 할 돌다리 ‘스테이 스쿨’

스테이 스쿨 강사진으로부터 미리 들어보는 생존 전략

일상의 웰니스 라이프 큐레이터에게 묻다

[Wellness Lifestyle] ⑧ Life Curators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

[Portrait] 호텔을 만드는 사람 한이경

‘왜 홀리스틱 웰니스인가’, 그는 이렇게 말한다

[Interview] 상하 리트릿 CCO & 총괄 건축가 — 캘빈 싸오Calvin Tsao

짓기 전에 꼭 넘어야 할 스무고개가 있습니다

[다시 만난 브리크의 공간] ① 서교동 카페 ‘콤파일Compile’ 황지원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