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살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Life] 세상에 없던 집의 탄생
ⒸKyung Roh
에디터. 김윤선  자료. 네임리스 건축  NAMELESS Architecture

 

경기도 광주 노곡리의 한 마을, 이전에 보지 못한 전혀 새로운 집이 나타났다. 세상의 잣대보다 스스로 원하는 삶의 방식을 찾고 싶었던 건축주. 그리고 그 삶의 가치를 고스란히 공간으로 풀어낸 건축가가 만나 외딴 숲에 집을 지었다. 이 집은 대체 어떻게 탄생했을까? 집을 설계한 네임리스 건축 나은중 소장에게 세상에 없던 집, 그 탄생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Kyung Roh

 

집 주변이 온통 숲이네요. ‘아홉칸집’이 위치한 노곡리는 어떤 곳인가요?

아홉칸집은 경기도 광주시 노곡리 작은 마을에 자리 잡고 있어요. 파란색 지붕과 샌드위치 패널로 된 가설 건물들이 마구 놓여있고 약간은 키치한, 전통적인 느낌의 건물들이 연속된 풍경이 있는, 전형적인 서울 근교의 모습이 있는 곳이에요. 그런데 시골길을 지나 대지에서 바라보면 그런 인공 구조물이 하나도 안 보여요. 처음에 현장을 답사하러 건축주와 함께 갔는데, 강원도 산골에나 들어가야 볼 수 있는 첩첩산중 산이 겹쳐진 풍경만 펼쳐지더라고요.

 

배치도. 집 주변이 온통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NAMELESS Architecture
집 안에서 보이는 노곡리의 풍경 ⒸKyung Roh

 

건축주는 어떤 분들이었나요?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가 둘 있는 30대 후반의 젊은 부부예요. 신기했던 건 동네에 연고가 전혀 없다는 점이었죠. 도시에 살던 젊은 사람들이 왜 외딴 시골로 이주하려고 하는지, 처음에 그 속내가 궁금했었어요.

 

저도 그 이유가 궁금해지는데요. 건축주는 왜 이런 시골 작은 마을에 터를 잡고 살려고 했던 걸까요?

건축주는 당시 동탄 신도시의 한 아파트에서 살고 있었어요. 원래 일본에서 10년 넘게 살다가 직장때문에 한국으로 돌아와 아파트에 살게 되었는데, 아파트 생활이 너무 불편하고 힘들었대요.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차를 타고 지나가다가 서울 근교에 이런 한적한 동네가 있다는 걸 알게 됐고, 구글 지도를 보면서 집 주변이 전부 숲으로 둘러싸인 이 땅을 찾은 거예요.

 

구체적으로 어떤 집을 지으려고 하셨어요?

세부적인 요구 사항을 말하기에 앞서 먼저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어요. 그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취향이나 삶의 방식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누었어요. 아내분은 화가인데, 두 아이를 출산하고 아파트에 거주하면서 그림 작업을 거의 못 하고 있는 상황이라 작업실이 필요했고요. 그리고 땅의 풍경이 너무 좋아 집을 지을 결심을 한 만큼 주변 풍경과 어울리는 집이기를 바랐어요.

 

건축주는 어떻게 네임리스 건축에 설계를 의뢰하게 되었나요?

‘삼각 학교’ 프로젝트를 보고 저희를 찾아왔다고 했어요. 학교를 이렇게 설계할 수도 있구나, 학교도 이렇게 달라질 수 있구나, 라고 생각했대요. 지금은 없어졌지만, 판교에 있는 옹느세자매 카페에 세 번이나 갔다 왔다고 하시더라고요. 거기에서 저희가 펠트로 만든 가구도 보셨고요.
건축주가 건축은 물론이고 가구에도 관심이 많으시더라고요.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나 찰스 앤 레이 임스Charles and Ray Eames, 이사무 노구치Isamu Noguchi 등의 오리지널 가구를 소장하고 있을 만큼요. 인상적이었던 건 건축주가 땅을 보면서 임스하우스Eames House1를 떠올렸다고 한 점이었죠. 그래서 처음에 임스하우스 도면을 참조해서 아이디어 스케치를 해 오셨어요. 그런 이야기들을 들으니 재밌을 것 같더라고요. 흥분되는 마음으로 설계를 맡았어요. 

 

동화고 삼각 학교 ⒸKyung Roh
동화고 삼각 학교 ⒸKyung Roh

 


*임스하우스 (Eames House)
건축가이자 가구 디자이너인 찰스 임스와 레이 임스 부부가 1949년에 작업실 겸 주택 용도로 지은 집. 20세기 중반 현대 건축 양식이 잘 표현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있다. 


 

비슷한 결의 사람들끼리 만나 집을 짓게 된 거네요.

서로 잘 맞았어요. 기본적으로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는 마음이 있어서 소통도 원활하게 이루어졌고요. 건축가와 건축주의 관계는 항상 상호적이에요. 의견이 서로 다를지라도 각자의 생각을 존중하면서 대화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큰 차이가 있거든요. 서로 존중하면서 집을 지어나갈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죠. 

 

처음에 두 개의 계획안을 제안하셨다고요.

첫 번째 대안은 대지 형태에 맞춘 길쭉한 평면 계획이었어요. 큰 거실이 하나 있어서 그게 집의 구심점이 되고 옆으로 방들이 나열된 형태였고요. 이 안은 안정적이죠. 아파트를 상상하면 익숙한 집일 수도 있어요. 두 번째 안은 현재 아홉칸집의 모습이에요. 아홉 개의 동일한 방들이 평등하게 나열된 계획안이었어요. 구심점이 없이 모든 공간이 거실이 될 수도, 방이 될 수도 있는, 살아가는 사람의 취향이나 계절감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는 형태죠. 

 

첫 번째 계획안 ⒸNAMELESS Architecture

 

건축주는 왜 두 번째 계획안을 선택했을까요?

계획안 미팅이 끝난 후 고민을 해보겠다고 하시고 두시간이 지났을 때쯤인가 전화가 왔어요. 집에 돌아가는 길에 차에서 한참을 얘기하셨대요. “우리가 첫 번째 계획안으로 집을 지을 생각이었다면 네임리스 건축에 오지 않았을 것 같아요. 두 번째 계획안으로 결정할게요.” 삶을 능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재미있는 집일 것 같다고 확신에 찬 말투로 말씀하셨죠. 계절마다 방도 달리 쓰고 가구 배치도 바꾸면 재밌겠다고 하면서요. 

건축주가 선택한 아홉 개의 동일한 방들이 평등하게 나열된 두 번째 계획안 ⒸNAMELESS Architecture

 

어디서 살고 싶은지, 어떻게 살고 싶은지에 대해 확고한 생각을 가진 분들이었군요.

집을 짓는 일이 정말 보통 일은 아니거든요. 아파트든 빌라든 누가 만들어 놓은 집을 골라서 사는 것과 내 집을 짓는 건 천지 차이예요. 지으면서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히면서 받는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고요. 집을 짓는다는 건 어디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아 나가는 과정이에요. 

 

내가 내 자신을 아는 것조차 쉽지 않은 일이지만, 어떤 공간에서 사는지가 그 사람을 말해주는 것 같아요.

건축가인 저 역시도 어떤 공간에서 살고 싶냐는 질문에 선뜻 답하기가 어려워요. 모든 삶의 고민은 거기에서부터 시작되는 것 같아요. 나의 삶은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있을까? 그리고 그 가치를 담는 공간은 어때야 할까? 그 고민이 삶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죠.
“어떤 집에 살 것인가. 어디서 살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그 질문으로부터 출발했던 것 같아요. 아홉칸집은. 

 

아홉칸집 모형 ⒸNAMELESS Architecture
아홉칸집 모형 ⒸNAMELESS Architecture

 

 

You might also like

건축에도 올드머니룩Old Money Look이 있을까?

[정해욱의 건축잡담] ⑩ 정통과 퓨전의 변증법에 관하여

스테이 창업 전, 반드시 두드려보아야 할 돌다리 ‘스테이 스쿨’

스테이 스쿨 강사진으로부터 미리 들어보는 생존 전략

일상의 웰니스 라이프 큐레이터에게 묻다

[Wellness Lifestyle] ⑧ Life Curators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

[Portrait] 호텔을 만드는 사람 한이경

‘왜 홀리스틱 웰니스인가’, 그는 이렇게 말한다

[Interview] 상하 리트릿 CCO & 총괄 건축가 — 캘빈 싸오Calvin Tsao

짓기 전에 꼭 넘어야 할 스무고개가 있습니다

[다시 만난 브리크의 공간] ① 서교동 카페 ‘콤파일Compile’ 황지원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