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말하다

[Insight Talk] ① 최재영 더퍼스트펭귄T-FP 대표
에디터. 윤정훈  사진. 윤현기  자료. 더퍼스트펭귄T-FP

 

<브리크brique>를 빛낸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하는 ‘브리크 인사이트 토크Brique Insight Talk’, 그 첫 번째 만남이 지난 4월 29일(토)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에서 열렸습니다. 국내 공간 씬의 변화를 주도하는 4명의 크리에이터가 ‘공간으로 읽는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주제로 그간의 경험과 식견을 펼쳐주었습니다. 그날의 이야기를 브리크 웹미디어 독자들께 소개합니다.


2023 Brique Insight Talk

① 통합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 – 최재영 더퍼스트펭귄 대표
② 쉼과 위로를 얻는 스테이 – 노경록 지랩 대표
③ 공간, 모든 것을 연결하다; 주택부터 카페, 사옥까지 – 김창균 유타건축 대표
④ 서비스센터가 하는 브랜딩 이야기 – 전수민 서비스센터 대표

 

통합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란

 

최재영 더퍼스트펭귄 대표 ©BRIQUE Magazine

 

‘통합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Integrated Space User eXperience Design’이란 무엇일까요? 저희가 하는 일은 크게 네 가지 층위를 갖습니다.
첫 번째 층위는 ‘형상, 형태, 재료, 구조, 색’. 물리적이고 실체가 명확한 공간 디자인 및 건축의 가장 기본적인 엘리먼트입니다. 두 번째는 실체는 없지만 반드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빛과 그림자, 소리, 온도, 바람, 풍경’이죠. 바깥 풍경조차도 활용 가능한 디자인 엘리먼트입니다.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음악, 향, 오브제’도 다룹니다. 앞서 언급한 소리와 음악은 다른데요. 소리가 자연 발생적인 소음이나 물리적 파동이라면, 음악은 인간의 개입을 통해 어떤 분위기와 느낌을 만드는 보다 적극적인 형태죠. 마지막으로 ‘콘텐츠, 운영, 전략, 철학’을 다룹니다. 철학은 오너의 생각입니다. 공간의 목표가 매출인지, 아니면 브랜드에 로열티를 부여해 긴 호흡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는 데 있는지 파악합니다. 각기 다른 목적을 자연스럽게 철학으로 연결하고 그 철학을 브랜드에 적용해 소비자들에게 말을 건네는 작은 힌트로 연결합니다.

 

©T-FP

 

정리하면 통합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물리적 공간 요소와 비물리적 브랜드 요소의 화학적이고 동시적인 결합을 통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입니다. 쉽게 말해 공간과 브랜드를 함께 다루는 것이죠. 중요한 것은 화학적이고 동시적이어야 한다는 겁니다. 아무리 훌륭한 건축가, 공간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라도 함께 일할 때 각자의 이야기만 한다면 각각의 요소는 제법 훌륭할 수 있으나 그것의 합이 완결한 브랜드(결과)로 사람들에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니까요.

 

©BRIQUE Magazine

 

전략적 목표를 설정하라

우선 목표를 설정합니다. 생각보다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가능하면 명시적으로, 달성 여부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목표가 좋습니다. 사실 우리가 하는 일에는 정답이 없는데 명확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어불성설일 수 있어요. 그렇지만 클라이언트를 설득하고 인지시키는 과정에서 함께 바라볼 수 있는 목표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목표 달성을 위한 경험을 설계하라

그다음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만들어야 할 경험을 설정하는데요. 정답은 없지만 이 역시 명료한 것이 좋습니다. 이후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확인합니다. 목표한 경험을 만들기 위해 ‘우리가 가진 것은 무엇인지’ 생각하는 것이죠. 여기서 우리는 의뢰인입니다. 클라이언트가 가진 것, 그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자기다움, 취향, 방향성 등을 프로젝트에 녹여내야 좀 더 지속가능하고 명확한 이야기를 펼쳐나갈 수 있습니다.

 

화학적 동시적 결합을 꾀하라

마지막으로 ‘화학적 동시적 결합’입니다. 각기 다른 전략, 경험 등을 프로젝트 안에서 화학적이고 동시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여건을 확인하고 찾는 일이 중요합니다.

 

.txt, 소수에게 가치를 팔다

 

첫 번째 사례는 원서동에 위치한 카페 ‘.txt’(2017)입니다. 아름다운 동네이지만 2017년에만 해도 아무것도 없었어요. 클라이언트가 찾아왔을 때 저희도 답이 없다고 생각했죠. 예쁘게는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잘되진 못할 것 같달까요. 이 사실을 인정하는 데서 시작했습니다. 많은 사람이 오기 어렵다면 적은 손님에게 많이 받아야겠죠. 이 생각을 세련되게 치환해 ‘소수에게 가치를 팔자’라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Shim Seokyong
©Shim Seokyong

 

특별한 커피 한 잔의 경험

목표 달성을 위한 경험을 몇 가지 설계했는데요. 첫째는 ‘특별한 커피 한 잔의 경험’입니다. 단순 음용하는 용액으로서의 커피가 아니라 커피 한 잔 앞뒤의 맥락을 좀 더 심도 있게 다듬었습니다. 커피는 매개일 뿐 커피를 마시는 경험이 특별한 시간이 되는 장치를 구상했습니다.

 

나의 취향과 기분을 존중하는 경험

두 번째는 ‘나의 취향과 나의 기분을 존중하는 경험’입니다. 특별한 커피 한 잔의 경험과 맞닿은 이야기인데요. 모두에게 똑같은 커피가 아니라 나만을 위한 커피, 나아가 그 경험을 기록하고 기억하고 간직하는 행위를 생각하며 일련의 경험을 설계했습니다.

 

공간과 브랜드의 동시적 결합

매장 가운데 위치한 종이보관함에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공서의 문서양식함에서 착안해 주문을 글로 하게끔 한 것인데요. 원두 종류, 우유 양, 뜨거움 정도 등을 표시하면 그것에 맞게 바리스타가 커피를 커스텀합니다. 대화가 아닌 텍스트로 소통한다는 점에서 브랜드의 이름이 텍스트의 약자 txt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소통 방식이 브랜드의 핵심이기에 4.5평밖에 안 되는 좁은 공간에서 종이보관함이 큰 면적을 차지하는 거죠.

 

©Shim Seokyong
©Shim Seokyong
©Shim Seokyong

 

동시적 화학적 결합이란 이런 것입니다. 만약 공간 디자인을 다 마친 뒤 주문 방식을 정했다면 아마 카운터 위 어딘가에 그저 종이를 올려두지 않았을까요? 좀 더 신경 쓰는 디자이너라면 종이함을 예쁘게 만들었겠죠. 뒤쪽 유리용기함은 누가 어떤 기준으로 정했을까요? 그냥 제가 보기에 예쁜 대로 했을까요? 혹은 담당 디자이너 마음대로 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특별한 커피 한 잔의 경험을 강조하기 위해 종류별로 소분된 원두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었습니다. 이 전략에 맞는 경험 장치로서 유리용기를 설정하고 위치, 선반 형태와 사이즈를 규정했죠. 어떤 직관이나 미감을 동원하기보다는 철저히 전략적 틀을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M1CT, 브랜드를 기억하게 만들다

 

‘M1CT’(2018)는 망원동 어느 이면도로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스튜디오 초기에 의뢰했던 분인데, 당시 저희가 브랜딩을 하지 않았기에 공간 디자인만 진행했죠. 가게가 잘 됨에도 문을 닫고 저희를 다시 찾아온 건 꿈을 실현하기 위함입니다. 커피에 인생을 걸 정도로 진지하게 임했지만 가게가 아파트 단지 앞에 있는 바람에 그저 동네 카페로만 인식됐기 때문이죠. 커피 전문 브랜드로서 그리고 훌륭한 카페로 기억하게 만드는 것이 프로젝트의 전략적 목표가 됐습니다.

 

©Shim Seokyong
©Shim Seokyong
©Shim Seokyong

 

커피와 나만 존재하는 경험

다름 아닌 커피를 기억하게 만들려면 공간은 비워야겠죠. 미니멀이라는 개념이 여러 이유로 시도되곤 하는데, 이 공간에서 미니멀은 사조로서 또는 유행이어서, 동네 분위기 때문이 아니라 오너와 프로젝트의 목표가 ‘기억하게 만드는 것’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군더더기를 배제하고 차분한 공간을 설계했습니다.

 

브랜드가 계속 말을 거는 경험

브랜드가 계속 말을 거는 경험. 쉽게 말해 브랜드를 계속 노출하는 것입니다. ‘M1CT’의 뜻은 ‘망원 시티’입니다. 이처럼 키치한 방식을 선호하진 않지만 이 브랜드는 달라야 했습니다. 소비자에게 명확하게 각인돼야 했으니까요. 따라서 그래픽 디자인에도 무척 볼드한 서체를 사용했습니다. 주문하면 받게 되는 작은 종이 역시 큰 의미가 있는 게 아니라 M1CT를 한 번 더 보고 기억해 달라는 의도입니다.

 

©Shim Seokyong

 

간판 대신 창에 브랜드명을 붙인 것 역시 같은 맥락입니다. 밤이면 매장 내 조명 덕분에 M1CT가 더욱 도드라지죠. 동네에 자전거 타는 사람이 많은데, 빠르게 지나치는 이들에게도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방식을 고민했습니다. 원두 패키지를 비치한 장 역시 txt 사례와 맥락이 같습니다. 패키지 몇 개를 어디에 놓을지 결정하고 패키지 사이즈에 맞게 장을 구성했습니다. 미시적인 것에서 출발해 거시적인 구성을 만든 셈이죠. 정면이 아닌 측면에 입구를 두고, 고객이 출입문으로 걸어오는 내내 시선이 닿는 곳에 장을 배치해 브랜드를 인식시켰습니다.

 

©Shim Seokyong
©Shim Seokyong

 

스티커가 엄청 붙은 이 전봇대, 보이시나요? 사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한 면에 같은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가 두 개 이상 노출되게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긴 예외였죠. 의미 없는 디자인을 하지 않지만 여기서는 의도적으로 의미를 버렸습니다. 디자이너가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스티커를 제작하고 카운터에도 비치해 커피 주문 시 가져갈 수 있게 했습니다. 실제 M1CT를 스티커 맛집으로 아는 분들도 많다고 해요. 이러한 전략에는 힙한 스트리트 감성이 아니라 브랜드를 계속 보여주겠다는 의도가 자리합니다.

 

©BRIQUE Magazine

 

식스티세컨즈 라운지, 휴식의 가치를 전달하다

 

‘식스티세컨즈 라운지60s Lounge’(2019)는 매트리스 브랜드가 만든 경험 중심의 쇼룸입니다. 철저히 클라이언트와 함께 기획하고 풀었던 프로젝트로, 핵심은 좋은 쉼과 좋은 잠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브랜드 정체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판매로 이어지게 하자는 취지였죠. 침대가 얼마나 좋은가보다 ‘당신에겐 쉼이 필요하다’는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훨씬 세련된 방식이라 생각했습니다. 이를 통해 브랜드의 이야기를 훨씬 또렷하게 전달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Kiwoong Hong
©Kiwoong Hong
©Kiwoong Hong

 

판매원의 동행 없이 침구를 사용하는 경험

휴식의 가치를 전달하는 경험 첫 번째, 판매원의 동행 없이 침구를 사용해 보는 경험입니다. 일반적인 침구 쇼룸에서는 직원이 가격과 성능을 설명해주죠. 이곳에서는 예약자들이 공간을 자유롭게 다니며 방마다 놓인 침구와 공간의 분위기를 직접 경험하게 설계했습니다.

 

©Kiwoong Hong
©Kiwoong Hong

 

휴식에 대해 생각하는 경험

1층에서 예약 확인 후 2층에 올라서면 첫 번째 방에서 사물함을 마주하게 됩니다. 겉옷을 걸어 두는 행거, 실내화, 지도, 볼펜, 줄자, 문패를 두었죠. 이 도구를 갖고 방문자들끼리 공간을 둘러보는 것입니다. 매트리스 및 침구 종류별로 다른 톤 앤 매너를 가진 다섯 개 방을 구성했습니다. 다시 1층으로 내려오면 바bar에서 직원과의 대화가 시작됩니다. 경험은 어땠는지, 어떤 방의 침대가 제일 편했는지와 같은 질문에 대답하며 제품에 대한 이야기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됩니다.

 

©Kiwoong Hong
©Kiwoong Hong

 

덧붙이자면 이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집이어야 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오랜 기간 전략을 구상해왔기 때문인데요. 그렇다 보니 매물 발견 후 일주일도 안 돼 계약을 했다고 하네요. 콘텐츠와 운영 방식이 명확했기 때문에 사이트 결정도 비교적 빠를 수 있었던 것이죠.

 

무거 버거, 건축이 브랜드가 되게 하다

 

‘무거 버거Mooger Burger’(2019)는 처음으로 진행한 건축 프로젝트입니다. 제주 함덕에 위치한 햄버거 브랜드로, 자연 친화적인 맛을 강조하는데요. ‘우리는 자연 자연에 가까운 버거를 만듭니다’라는 브랜드 슬로건을 건축 역시 따라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다른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았어요. 프로그램과 괴리된 건축을 하면 무엇을 채우든 관계없이 건축적 개념만 남을 테니까요. 건축적 개념이 곧 브랜드의 개념이 되는 것. 이것이 저희가 이야기하는 통합 공간 사회적 경험 디자인에 맞는 건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Kiwoong Hong
©Kiwoong Hong

 

풍경을 바라보며 먹는 경험

목표를 위해 설정한 첫 번째 경험은 ‘풍경을 바라보며 햄버거를 먹는 경험’입니다. 직관적이고 일차원적이지만 브랜드의 방향성과 잘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를 위한 장치가 2층의 띠 창인데요. 햄버거를 들고 자리에 앉아서 한 입 베어 무는 순간 비로소 아름다운 제주의 풍광이 눈에 들어오게끔 설계했습니다. 앉은 사람의 눈높이와 창의 중심선이 맞닿도록, 건축적 디테일로 시야에 거슬리는 다른 요소가 없게 했죠.

 

©Kiwoong Hong
©Kiwoong Hong

 

자연 현상을 느끼며 먹는 경험

1층은 자연이 만들어 내는 현상을 경험하며 햄버거를 먹도록 설정했습니다. 천창을 내고 그 위에 물을 담아 1년 내내 부는 제주의 바람, 빛이 천창 수조에 파장을 일으키게끔 했습니다. 날이 흐리면 흐린 대로, 햇빛이 강하면 강한 대로 각기 다른 파장이 만들어지죠. 이 현상이 1층에 그대로 투영되도록 했습니다.

 

©Kiwoong Hong
©Kiwoong Hong

 

이제 남해, 감각을 열어 감응을 이끌어 내다

 

호텔 브랜드 이제IJE의 남해점, 경주점의 건축 및 브랜딩을 진행했습니다. ‘이제 남해’(2022)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찾은 현장은 정말 고요했는데요. 가득한 도시에 있다 보면 먹먹한 기분을 느끼기 쉽지 않죠. 조곤조곤한 새소리, 천천히 흘러가는 물소리, 멀리서 대나무 흔들리는 소리가 들려오며 평소 잘 쓰지 않는 감각이 열리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에 착안해 ‘감각을 열어 감응을 이끌어내자’는 슬로건을 설정했고, ‘무뎌진 감각을 깨우는 경험’과 ‘자신의 몸과 마음에 귀를 기울이는 경험’을 설계했습니다.

 

©Kiwoong Hong
©Kiwoong Hong
©Kiwoong Hong

 

무뎌진 감각을 깨우는 경험

건물 벽체에 사용한 재료는 짙은 진흙색 점토 벽돌입니다. 일상에서 햇빛의 변화를 조망하는 경우는 별로 없잖아요. 해에 따라 벽에 맺히는 그림자를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벽돌을 하나하나 쪼개 쌓아올렸습니다. 화성을 연상케 하는 주변 갯벌과 유사한 색의 벽돌로 뻘의 언어가 건축으로 이어지게끔 했죠. 주변에 대나무 숲이 많은 것에서 착안해 중정에 대나무 군락을 조성, 대나무가 흔들리는 모습이나 소리를 보다 감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Kiwoong Hong
©Kiwoong Hong

 

몸과 마음에 귀를 기울이는 경험

각 객실은 편백나무 욕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외부에는 사용 시간이 정해진 독채탕을 두어 좀 더 완결한 스파 경험이 가능케 했죠. 향, 티, 음악을 즐길 수 있고 프라이버시 보호가 잘 돼 나체로 일광욕을 즐길 수도 있습니다. 외에 옥상 정원, 1층의 전면 테라스에도 실내 욕조가 있습니다. 한 번 투숙 시 각기 다른 여건에서의 스파 경험이 가능한 거죠.

 

©Kiwoong Hong
©Kiwoong Hong

 

이제 남해에 대한 투숙객의 피드백을 보면 ‘바쁘다’는 이야기가 지배적입니다. 불편하다는 게 아니라 1박 2일이 짧을 정도로 할 게 많기 때문이죠. 세 가지 종류의 스파, 석식과 조식, 산책과 주변 구경까지. 복잡한 생각 대신 호텔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흐름 안에서 하루 정도 푹 쉬며 감각을 열어주면 일상을 영위할 힘이 살아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갖고 설계를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BRIQUE Magazine
©BRIQUE Magazine

 

You might also like

건축에도 올드머니룩Old Money Look이 있을까?

[정해욱의 건축잡담] ⑩ 정통과 퓨전의 변증법에 관하여

스테이 창업 전, 반드시 두드려보아야 할 돌다리 ‘스테이 스쿨’

스테이 스쿨 강사진으로부터 미리 들어보는 생존 전략

일상의 웰니스 라이프 큐레이터에게 묻다

[Wellness Lifestyle] ⑧ Life Curators

패러다임 전환의 시대

[Portrait] 호텔을 만드는 사람 한이경

‘왜 홀리스틱 웰니스인가’, 그는 이렇게 말한다

[Interview] 상하 리트릿 CCO & 총괄 건축가 — 캘빈 싸오Calvin Tsao

짓기 전에 꼭 넘어야 할 스무고개가 있습니다

[다시 만난 브리크의 공간] ① 서교동 카페 ‘콤파일Compile’ 황지원 대표